등록 : 2019.07.22 08:39
수정 : 2019.07.22 08:50
소상공인·자영업자 혜택은 공통점
제로페이는 QR코드 기반 결제수단
온누리·지역화폐는 상품권 정책
온누리상품권과 제로페이는 지역화폐(상품권)와 성격은 다르지만 공통점도 많다. 헷갈려 하는 소비자도 있고, 조정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2009년 7월 정부가 시작했다. 모바일과 종이 형태로 돼 있고, 5~10% 싸게 살 수 있다는 것은 지역화폐와 비슷하다. 하지만 중앙정부(중소벤처기업부)가 주도하고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통시장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은 다르다. 지역화폐는 지방정부 주도, 지역에서만 소비, 지역경제 살리기 등의 성격을 가졌다. 온누리상품권은 지난해 판매액이 1조5천억원을 넘겼고 올해는 2조원까지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할인 혜택이 큰 만큼 일부 상인과 상품권 브로커들이 수천만원어치 상품권을 대거 매입한 뒤 은행에서 현금화하는 소위 ‘상품권 깡’을 하는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쪽에서는 “온누리와 지역화폐가 전통시장 상인들을 비롯한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라는 공통분모가 있는 만큼 상호 협력 관계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제로페이는 지난해 12월 서울시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들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낮추기 위해 도입했다. 소비자가 앱을 깔고 스마트폰으로 큐아르(QR) 코드를 찍으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돈이 이체되는 방식으로, 전국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가맹점 매출액에 따라 수수료는 0~0.5%로 신용카드보다 저렴하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에게 혜택이 간다는 점에서 온누리·지역화폐와 비슷하지만 큐아르 코드에 기반한 결제수단의 하나로, 상품권 방식인 온누리·지역화폐와는 다르다.
김소연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수석연구원
▶ 관련기사
지역에 ‘다른 돈’이 돈다…1년 사이 6배 몸집 불어난 ‘지역화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