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밀착형 인권 지킴이 될터” 이광영 소장
|
“지역밀착형 인권 지킴이 될터”
“시민들의 인권 보호를 위해 현장에서 기동성 있게 대응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1일 정식으로 사무실 개소식을 열고 업무에 들어가는 이광영(43·?5n사진)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사무소장은 10일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그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부산 사무소의 개설이 갖는 의미를 나름대로 평가했다. “2001년 말 국가인권위원회가 설립된 뒤 4년만에야 처음으로 지역에 사무소가 생겨 늦은 감은 있지만, 이제부터라도 지역밀착형 인권보호 활동이 가능하게 됐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입니다.” 부산사무소는 이 소장과 강석권(36·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김태은(29·여·한진중공업 노조), 조영래(31·통일시대 젊은벗)씨 등 시민운동가 출신 4명과 배윤호(34·국가인권위원회), 조경재(35·부산시 아펙준비단)씨 등 현직 공무원 2명 등 6명의 조사관으로 이뤄져 있다. 사무소 개소식에 앞서 이들은 이미 지난달부터 출근을 하며 현황 파악, 상담 접수 등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부산사무소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있는 수사기관, 교도소, 보호시설 등 공공기관에서 벌어지는 인권 침해와 민간기업을 포함한 각종 기관, 기업, 단체에서 벌어지는 인권 차별을 조사하고 피해자 구제를 하게 된다. 직권·방문 조사 권한도 있지만 당분간은 피해자 진정을 중심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소수 정예’로 구성됐지만 현재의 일손으로 모든 것을 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라기 때문이다. 시민 인권교육과 인권 관련 각종 상담도 이들의 몫이다. 심지어 교도소와 구치소 등에는 찾아가서 상담해야 한다. 이 소장은 “부산·울산·경남 지역 800만 시민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최소 20명 이상은 돼야 할 것으로 보지만, 인건비 등의 문제 때문에 생각대로 되지 않았다”며 “전문상담원 충원이 무엇보다 시급하지만, 당장은 조사관 모두가 각자 두명, 세명의 몫을 한다는 각오로 열심히 뛰는 방법뿐”이라고 아쉬워했다. 이미 이 소장은 이보다 훨씬 열악한 상황에서도 인권보호 운동을 펼쳐왔다. 1998년부터 최근까지 부산인권센터 사무처장으로 활동했던 그에게는 시민운동 차원에서 국가기관 차원으로 인권보호 운동의 틀이 바뀌었을 뿐이다.동의대 부총학생회장 출신인 그는 89년 일어난 이른바 ‘5·3 동의대 사건’을 계기로, 90년 부산 민가협 사무국장을 맡아 시민운동에 뛰어들었다. 이후 그는 지방자치참여 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장, 부산통일연대 공동집행위원장, 민주화운동정신계승 부산연대 집행위원장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이 때문에 부산지역 관공서에서는 벌써부터 “부담스런 상대를 만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사무소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인권 침해와 차별을 예방하는 효과를 거둘 때까지 조사관 모두가 ‘인권지킴이’로서 최선을 하겠습니다.” 정식으로 문을 열기도 전에 부산사무소에 ‘잃어버린 인권을 되찾아 달라’고 잇달아 걸려오는 전화에서 이 소장을 비롯한 직원들은 부산 시민들의 높은 기대감을 몸으로 느끼고 있는 듯 했다. 부산/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