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31 18:14 수정 : 2008.07.31 19:36

김밥을 만들고 있는 프랑스 청년들과 문정동성당 김홍진 신부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선교사의 나라 프랑스 청년 260명 방한
함께 어우러져 다른문화 같은신앙 즐겨

한국가톨릭에 온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프랑스 출신이었다. 지난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된 순교 성인 103위 중에도 프랑스 신부 10명이 포함돼 있었다. 그처럼 2백여년 전 신앙을 전해준 프랑스인들의 후손들이 열흘 동안 한국교회와 가정에 머물며 한국 가톨릭을 체험했다. 한국 가톨릭에 온 선교사의 대부분이 프랑스에서 왔고, 그들이 미친 영향이 매우 컸기에 한국 가톨릭은 프랑스 가톨릭을 ‘어머니 교회’라고 부를 정도였다. 초기엔 한국 가톨릭 대부분의 교구장과 주교가 프랑스였던 한국 가톨릭은 이제 신자수 500여만명에 추기경을 두 명이나 배출했을 뿐 아니라 세계 가톨릭에서도 가장 신앙적 에너지가 충만해 세계 가톨릭계의 주목을 받을 정도가 됐다. ‘쪽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오히려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청출어람(靑出於藍)을 실감케 하고 있는 셈이다.

방문단 260명 가운데 노르망디에서 온 106명이 머문 서울 송파구 문정1동 문정천주교회를 찾았다. 지난 26일 오후 마당에 들어서자 프랑스 남녀 대여섯명이 둘러서서 잡담을 나누며, 그 가운데 두 명은 담배를 피고 있었다. 가톨릭에선 담배를 금지하지는 않지만, 교회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흔한 일은 아니다. 교회에서도 자유분방한 듯한 그들의 분위기가 느껴졌다.

주임 김홍진 신부의 안내를 받아 교회 지하에 내려가보니, 여러개 작은방에선 10여명씩 모여 각기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있었다. 한 방에선 대형 스크린으로 영화 <친구>가 상영되고, 불어 자막이 떴다. 프랑스 청년들이 장동건이 등장한 스크린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프랑스에서 온 가톨릭 주교와 청년들이 티셔츠 위에 한국과 프랑스 국기를 그리고 있다.
옆방에선 청년들이 김밥을 만들고 있었다. 아모리는 여자친구 아가트와 함께 김밥을 만들면서 “너무나 재미있다”면서 흥미진진해 했다. 김밥을 하나 말아 썰어놓은 옆 친구는 “하나 맛보지 않으려느냐”면서 김밥 하나를 건넸다. 초보자가 만든 것인데도 간이 맞아 맛이 그만이었다. 옆방에선 제기를 차느라 부산하고, 그 옆방에선 화선지와 부채에 붓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썼다. 베칭게르는 자신의 이름을 한글로 부채에 쓰며 재미있어 했다. 그 프랑스 청년들 틈새에서 지도신부인 보소 신부도 함께 앉아 그림을 그리느라 여념이 없었다. 옆방에선 프랑스청년들과 한국 청년들이 어울려 티셔츠에 한국과 프랑스 국기를 교차해서 그리고 있었다. 방문단을 이끌고 온 주교도 그 사이에 섞여서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누가 주교이고, 누가 신부이고, 누가 평신도인지 구별이 되지 않고 구별할 필요도 없는 어울림의 장이었다.

밤 8시엔 성당에서 온갖 분장을 한 청년회의 깜짝 공연 현장을 들어오던 프랑스 청년들은 덩실 덩실 춤을 추면서 한국 신자들과 한덩어리가 되었다.

프랑스 방문단들은 모두 민박을 했다. 방문단은 남자가 46명, 여자가 60명이었다. 교회 신자들로부터 성별을 구분해 민박봉사자 신청을 받아 가정을 배정하기 때문에 숫자를 맞추기가 간단치 않은 일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정확히 방문남녀수대로 신청이 들어왔다고 한다. 프랑스 신자들은 밤엔 각 가정에 머물렀다. 낮에는 최근 암수술을 받은 박선주 수녀를 비롯한 수녀들과 교회청년회원들, 교회 간부들, 봉사자들의 보살핌 아래 한국의 삶과 문화와 먹거리를 만끽했다.

10일 동안 한국 가톨릭 신자들의 삶과 문화를 지켜본 프랑스인들은 “손님을 대하는 한국인들의 모습이 감탄스러울 뿐”이라며 “마치 황제가 된 기분”이라고 말했다. 또 신앙 원조인 자신들보다 훨씬 신앙심이 깊은 한국 신자들의 모습에 놀라기도 했다. 얀씨는 “식사할 때 프랑스에선 신자들도 드러나게는 거의 기도를 하지 않는데, 꼭 기도를 하는 것에 놀랐다”고 말했다.


프랑스 신자들과 함께 지내면서 한국 신자들도 느끼는 게 적지 않았다. 특히 성직자들과 신자들간의 벽이 거의 느껴지지 않은 채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고 어울리는 모습에 한국 신자들은 몹시 놀라워했다. 특히 멀게만 느껴 온 주교들이 거리낌 없이 신자들과 같은 눈높이에서 노는 점을 부러워했다.

신앙으로 연결된 한국과 프랑스 신자들이 하나로 어우러지면서 서로에게 기쁨과 자극이 된 10일이었다.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