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03 19:33 수정 : 2008.07.03 19:33

가톨릭·개신교·불교·원불교 등 4대 종단 성직자들이 함께 100일간 4대 강을 따라 걸었던 한반도대운하 반대 종교인순례단.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기독교·천주교·불교 민주화 운동…동학도 항일투쟁 앞장

종교계가 시국의 전면에 나서면서 종교의 현실 참여에 대한 보수 쪽의 반론이 거세다.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이 지난달 30일부터 서울광장에서 매일 시국미사를 열면서부터다. 과거 시국의 고비 마다 사제단이 나서면 국민들이 움직이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역사도 새로 쓰였다. 이번 사제단의 등장도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4일엔 불교계가 시국법회를 열고, 오는 8일엔 원불교도 가세하기로 하면서 ‘종교계의 현실 참여가 지나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 근현대사에서 종교계와 현실을 떼어놓기는 어렵다. 종교계는 종종 현실 참여 정도를 넘어 새 역사를 만들어가는 주역을 맡아 왔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독재정권의 인권 탄압에 맞서 민주화를 이루는 데 주도적인 구실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투쟁이 감옥행과 고문, 심지어 죽음으로 이어졌던 군사정권 시절엔 개신교가 선봉에 섰다. 개신교계의 시민·인권 의식이 먼저 깨어 있던데다 미국·유럽 등 서양 강국의 종교계와 교류하면서 그들의 후원과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상대적으로 독재정권과 맞서기 쉬웠기 때문이다. 당시 개신교계 단체들이 모여 있던 ‘종로5가’는 민주화 운동의 구심점이었다.

천주교 사제단이 모습을 드러낸 건 1974년 지학순 주교가 반정부 시위를 주모한 혐의를 받고 있던 김지하 시인에게 자금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중앙정보부에 끌려간 것이 계기였다. 62년 세상의 아픔에 대한 교회의 동참을 강조한 로마 교황청의 제2차 바티칸공의회 공표 이후 사회의 아픔에 눈을 뜨기 시작한 사제들은 독재권력과 불의에 맞서 싸우며 박해받고 소외된 양심세력과 노동자·농민·빈민 등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하기 시작했다. 80년 5·18 때는 왜곡된 학살의 진상을 세상에 공개했고, 87년 5월17일엔 명동성당에서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의 조작 사실을 폭로해 6·10 민주항쟁의 기폭제 노릇을 했다.

한국 천주교는 18~19세기 조선말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변혁을 꾀했다가 박해를 당한 이후, 일제 강점기엔 다른 종교들과 달리 역사의 뒷전에 물러나 있었으나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사제들의 헌신 덕에 ‘양심’의 대변자로 등장한 것이다.

불교계의 경우 60~70년대 사회 참여는 미미했지만 80년대 실천불교승가회의 등장으로 민주화에 일익을 담당하기 시작했다. 조계종은 94년 종단 개혁이 성공해 개혁 종단이 들어섬으로써 보수파들이 주류를 자임하는 가톨릭이나 개신교와 달리 오히려 개혁파들이 종단을 움직이고 있다. 지난 2일 영남지역의 대형 사찰들을 이끄는 본사 주지들을 포함한 200여명의 본말사 주지들이 ‘이명박 정부의 참회를 요구’하고 나선 데서도 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불교계의 참여는 일부가 아니라 불교계의 전반적인 참여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다.

근대사에선 1860년 동학(천도교)의 등장 이후 민족종교들이 동학 민중항쟁 등을 통해 봉건시대 타파에 나섰다. 일제 강점기 때도 천도교·대종교·보천교·청림교 등 민족종교들이 항일투쟁을 활발히 펼쳤다. 다른 종교들에 비해 탄압이 극심했고, 다른 나라와 네트워크의 지원조차 받을 수 없던 민족종교들의 대부분은 일제의 탄압으로 지도자들이 대부분 죽임을 당하고, 종단 자체가 해체됐다.

이런 사회참여 과정에서 형성된 종교간 협조도 한국만의 독특함이다. 민족대표 33인이 모두 종교계 대표였던 3·1운동은 개신교(16명), 천도교(15명), 불교(2명)가 함께한 종교연합운동이었다.


조현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