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01 20:31 수정 : 2006.02.01 20:31

자정 시스템·실명제 도입·댓글 개선 켐페인·언론 책임보도 등등

검찰이 임수경씨 아들의 죽음에 대해 인터넷에 악의적인 댓글을 단 누리꾼을 형사처벌한 것을 계기로 댓글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악의적인 댓글(악플)이 개인의 명예를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여론을 왜곡 또는 조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가 최근 내놓은 조사 결과를 보면, 하루 20건 이상 댓글을 쏟아 내는 사람은 750명(전체 이용자의 0.06%)에 그치지만 이들은 댓글의 25%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학수 <문화방송> 피디는 “황우석 교수와 관련해 ‘피디수첩’ 게시판의 글을 보면 한 사람이 30번, 50번씩 올리기도 했다”며 “조직적인 소수들이 대단히 특수하게 반응했는데, 이들의 여론몰이에 위험을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독일의 노엘레 노이만은 지난 1974년 제시한 ‘침묵의 나선 이론’에서 대중들은 자신의 의견이 우세한 여론에 속하면 더 크게 주장하지만, 열세에 속하면 침묵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소수의 침묵을 가속화 시키고 여론을 형성한 다수는 더 강력한 효과를 내게 된다.

<한겨레> 인터넷판에 올라온 황 교수 관련 기사에 따라붙은 댓글 가운데는 아이디가 같은 누리꾼이 비슷한 내용을 도배하는 경우가 많았다. 심한 악플을 쓰는 사람 때문에 건전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은 댓글 쓰는 것을 포기해 버리기 일쑤였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점을 대부분 인정하지만 대안과 관련해서는 서로 다른 해법을 내놓고 있다. 박성희 이화여대 교수(언론홍보영상학부)는 “인터넷 실명제 등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면 인터넷에서 표현의 자유가 크게 위축될 우려가 있다”며 “제도적인 장치보다 누리꾼의 자정능력을 길러주는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예를 들어 언론사나 포털들이 좋은 댓글을 쓰는 사람들에게 포인트나 마일리지 등을 주는 사이버논객 관리시스템 만들 것을 제안했다.

반면 이범수 동아대 교수(신문방송학과)는 “현재의 댓글은 익명성을 담보로 소수가 다수를 위장하거나 여론을 왜곡할 우려가 있다”며 “실명제 도입을 확대하면 활발한 토론을 불러 양질의 댓글을 찾아낼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전한 사이버 여론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단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강혜란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사무국장은 “시민단체들이 누리꾼의 책임의식을 북돋을 필요가 있다”며 “여러 시민단체들이 인터넷에서 댓글 문화 개선과 관련한 캠페인을 벌이는 등의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의 책임을 따지기도 했다. 양승목 서울대 교수(언론정보학과)는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등 권위지들은 댓글로 인해 명예훼손 등의 문제가 일어나자 댓글을 폐지했다”며 “하지만 한국 언론들은 그동안 댓글의 문제점을 지적하지 않은 채 댓글을 여론인 것처럼 보도해 왔다”며 언론의 보도태도를 꼬집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