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5.08 12:00
수정 : 2019.05.08 13:46
|
콘텐츠별 자동추천 서비스 이용현황. 방통위 제공
|
방통위 ‘2018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인식조사’
스마트폰·스마트워치는 ‘소통’ 피시는 ‘정보검색’ 활용
5년 안 원격진료·로봇 일부서비스 상용화 가능성도
|
콘텐츠별 자동추천 서비스 이용현황. 방통위 제공
|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데스크톱 컴퓨터(53.6%), 노트북 컴퓨터(29.2%), 태블릿 피시(7.9%), 스마트 워치(1.9%) 순으로 사용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는 타인과의 소통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반면, 데스크톱과 노트북, 태블릿 등 피시류는 정보검색을 위한 활용도가 높았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김대희)은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서비스 이용자의 사용경험과 태도 등을 조사한 ‘2018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확산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과 행태 변화를 3년 간 추적하는 패널조사로 2020년까지 실시된다. 이용자 패널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7~63살 남녀 4233명(2411가구)로 구성하였으며 가구별 방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대상자는 스마트폰 이용자로 인터넷을 하루 1회 이상 사용하는 자이다.
포털 등의 자동 추천 서비스를 이용해 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뉴스(63.9%), 영화 및 동영상(56.2%), 음악(46%) 순으로 뉴스 추천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추천 알고리즘은 이용자가 선호할 만한 것들을 선별, 제공해 검색 비용 절약과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뉴스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 80%는 자동 추천 결과에 대해 “내 취향 또는 뉴스 이용 목적에 적합”하다며 만족감을 나타냈고 ‘추천 기사가 획일적이지 않고 다양하다’(69.5%)
‘유용하다’(73.0%)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다’(73%) 등 긍정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인의 사고나 가치관이 편향될까 두렵다는 견해도 57.8%로, 자신이 선호하는 정보만 편식해 기존 고정관념이 강화되는 확증편향 현상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5년 안에 상용화될 가능성이 높은 인공지능 서비스엔 원격진료(63.1%)와 위험한 일을 대신하는 로봇(55.8%) 등이 꼽혔다. 그러나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교육용 로봇(40.8%)과 아기돌봄 로봇(41.6%)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용화될 경우, 응답자들이 가장 이용하고 싶어하는 지능정보 서비스는 무인상점(70.3%), 로봇·드론에 의한 택배·배달 서비스(63.3%)였다. 방통위는 이에 대해 “사람들이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가 적고 일상생활이 편리해지는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이용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
기관별 개인정보 데이터 관리 신뢰도. 방통위 제공
|
개인정보 보호 수준과 관련해 이용자 58%는 5년 전과 견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 가장 신뢰하는 기관으로는 금융기관(59.6%)을 꼽았다. 정부 및 공공기관(52.6%)이 그 뒤를 이었으며 온라인 쇼핑몰(35.0%)은 신뢰도가 꼴찌로 나타났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