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쪽 수용 거부…구조혁신 둘러싼 시각차 뚜렷 한국방송 노사가 브레이크 없는 갈등의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 노조 쪽은 노조위원장의 무기한 단식투쟁으로 ‘경영진 퇴진’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반면 회사 쪽은 “노조 요구가 합리적일 경우 수용하겠지만, 받아들이지 못할 것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이를 일축하고 있다. 이런 대립엔 임금삭감과 명예퇴직, 구조조정 같은 한국방송 구조혁신 방안을 둔 원칙의 차이가 깔려있어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노사관계가 정면 충돌로 치달은 건 지난달 30일 정연주 사장과 진종철 노조위원장의 단독회동이 무산되면서다. 진 위원장은 “노조 대의원대회 결의사항인 부실경영 경영진 퇴진을 요구했으나, 정 사장은 노조 위원장이 대의원들을 설득해 조합안을 철회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이후 5일 경영진 퇴진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그는 “경영진 퇴진이 꼭 정 사장을 겨냥한 게 아니라, 경영진 일부를 바꿔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도록 하라는 뜻임을 전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회사 쪽은 6일 낸 사보를 통해 “(지난 4월 ‘녹음 사건’을 계기로) 부사장을 포함해 대대적인 경영진 교체가 있은 지 두달 남짓밖에 되지 않았다”며 노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노사 갈등의 바탕엔 2년 연속 적자가 예상되는 경영위기에 대한 시각 차가 깔려있다. 진 위원장은 “부실경영으로 회사를 위기에 몰아놓은 경영진의 책임을 먼저 물은 뒤라야 노조 쪽도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대화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회사 쪽은 “현재의 경영위기는 지상파 독과점 붕괴라는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며 “지금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사적 역량을 모을 때”라고 반박하고 있다. 노조 쪽 대오가 단일하진 않다. 한국방송 피디협회(협회장 이강현)는 5일 발행된 <피디협회보>에서 “노조는 적자경영을 질타하면서도 사쪽의 대책에 대해선 ‘상업주의’라고 비난하는 자가당착을 범하고 있다”며 노조의 대응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노조 쪽도 6·7일 연속 특보를 통해 “피디협회보는 해노행위에 해당하는 경거망동을 자제하라”고 원색적으로 되받았다. 한 직원은 “구조조정 방안 등을 놓고, 콘텐츠 제작 중심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피디·기자 등과 여타 직종간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사갈등이 깊어감에 따라 회사 쪽 구조혁신 방안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져가고 있다. 한 관계자는 “회사 쪽으로선 각종 사업 정리와 철수 등 노조와의 협의 없이 즉각 실행할 수 있는 부분부터 실천에 옮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국방송은 일단 4일부터 13일까지 특별명예퇴직과 희망퇴직 신청 접수에 들어갔다. 또 7일 경영혁신안 추진을 위한 경영혁신 프로젝트팀장에 장해랑 전 비서팀장을 임명하는 등 실행 의지에 힘을 싣고 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미디어 |
갈수록 꼬이는 ‘한국방송’ 노사대립 |
노조위원장 경영진 퇴진 요구…단식 농성 돌입
사쪽 수용 거부…구조혁신 둘러싼 시각차 뚜렷 한국방송 노사가 브레이크 없는 갈등의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 노조 쪽은 노조위원장의 무기한 단식투쟁으로 ‘경영진 퇴진’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반면 회사 쪽은 “노조 요구가 합리적일 경우 수용하겠지만, 받아들이지 못할 것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이를 일축하고 있다. 이런 대립엔 임금삭감과 명예퇴직, 구조조정 같은 한국방송 구조혁신 방안을 둔 원칙의 차이가 깔려있어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노사관계가 정면 충돌로 치달은 건 지난달 30일 정연주 사장과 진종철 노조위원장의 단독회동이 무산되면서다. 진 위원장은 “노조 대의원대회 결의사항인 부실경영 경영진 퇴진을 요구했으나, 정 사장은 노조 위원장이 대의원들을 설득해 조합안을 철회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이후 5일 경영진 퇴진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그는 “경영진 퇴진이 꼭 정 사장을 겨냥한 게 아니라, 경영진 일부를 바꿔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도록 하라는 뜻임을 전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회사 쪽은 6일 낸 사보를 통해 “(지난 4월 ‘녹음 사건’을 계기로) 부사장을 포함해 대대적인 경영진 교체가 있은 지 두달 남짓밖에 되지 않았다”며 노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노사 갈등의 바탕엔 2년 연속 적자가 예상되는 경영위기에 대한 시각 차가 깔려있다. 진 위원장은 “부실경영으로 회사를 위기에 몰아놓은 경영진의 책임을 먼저 물은 뒤라야 노조 쪽도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대화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회사 쪽은 “현재의 경영위기는 지상파 독과점 붕괴라는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며 “지금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사적 역량을 모을 때”라고 반박하고 있다. 노조 쪽 대오가 단일하진 않다. 한국방송 피디협회(협회장 이강현)는 5일 발행된 <피디협회보>에서 “노조는 적자경영을 질타하면서도 사쪽의 대책에 대해선 ‘상업주의’라고 비난하는 자가당착을 범하고 있다”며 노조의 대응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노조 쪽도 6·7일 연속 특보를 통해 “피디협회보는 해노행위에 해당하는 경거망동을 자제하라”고 원색적으로 되받았다. 한 직원은 “구조조정 방안 등을 놓고, 콘텐츠 제작 중심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피디·기자 등과 여타 직종간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사갈등이 깊어감에 따라 회사 쪽 구조혁신 방안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져가고 있다. 한 관계자는 “회사 쪽으로선 각종 사업 정리와 철수 등 노조와의 협의 없이 즉각 실행할 수 있는 부분부터 실천에 옮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국방송은 일단 4일부터 13일까지 특별명예퇴직과 희망퇴직 신청 접수에 들어갔다. 또 7일 경영혁신안 추진을 위한 경영혁신 프로젝트팀장에 장해랑 전 비서팀장을 임명하는 등 실행 의지에 힘을 싣고 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사쪽 수용 거부…구조혁신 둘러싼 시각차 뚜렷 한국방송 노사가 브레이크 없는 갈등의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 노조 쪽은 노조위원장의 무기한 단식투쟁으로 ‘경영진 퇴진’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반면 회사 쪽은 “노조 요구가 합리적일 경우 수용하겠지만, 받아들이지 못할 것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이를 일축하고 있다. 이런 대립엔 임금삭감과 명예퇴직, 구조조정 같은 한국방송 구조혁신 방안을 둔 원칙의 차이가 깔려있어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노사관계가 정면 충돌로 치달은 건 지난달 30일 정연주 사장과 진종철 노조위원장의 단독회동이 무산되면서다. 진 위원장은 “노조 대의원대회 결의사항인 부실경영 경영진 퇴진을 요구했으나, 정 사장은 노조 위원장이 대의원들을 설득해 조합안을 철회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이후 5일 경영진 퇴진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그는 “경영진 퇴진이 꼭 정 사장을 겨냥한 게 아니라, 경영진 일부를 바꿔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도록 하라는 뜻임을 전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회사 쪽은 6일 낸 사보를 통해 “(지난 4월 ‘녹음 사건’을 계기로) 부사장을 포함해 대대적인 경영진 교체가 있은 지 두달 남짓밖에 되지 않았다”며 노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노사 갈등의 바탕엔 2년 연속 적자가 예상되는 경영위기에 대한 시각 차가 깔려있다. 진 위원장은 “부실경영으로 회사를 위기에 몰아놓은 경영진의 책임을 먼저 물은 뒤라야 노조 쪽도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대화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회사 쪽은 “현재의 경영위기는 지상파 독과점 붕괴라는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며 “지금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사적 역량을 모을 때”라고 반박하고 있다. 노조 쪽 대오가 단일하진 않다. 한국방송 피디협회(협회장 이강현)는 5일 발행된 <피디협회보>에서 “노조는 적자경영을 질타하면서도 사쪽의 대책에 대해선 ‘상업주의’라고 비난하는 자가당착을 범하고 있다”며 노조의 대응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노조 쪽도 6·7일 연속 특보를 통해 “피디협회보는 해노행위에 해당하는 경거망동을 자제하라”고 원색적으로 되받았다. 한 직원은 “구조조정 방안 등을 놓고, 콘텐츠 제작 중심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피디·기자 등과 여타 직종간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사갈등이 깊어감에 따라 회사 쪽 구조혁신 방안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져가고 있다. 한 관계자는 “회사 쪽으로선 각종 사업 정리와 철수 등 노조와의 협의 없이 즉각 실행할 수 있는 부분부터 실천에 옮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국방송은 일단 4일부터 13일까지 특별명예퇴직과 희망퇴직 신청 접수에 들어갔다. 또 7일 경영혁신안 추진을 위한 경영혁신 프로젝트팀장에 장해랑 전 비서팀장을 임명하는 등 실행 의지에 힘을 싣고 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