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이 사건과 관련된 뉴스분석을 바탕으로 "'연예인 X파일' 사건의 배후에는 무엇보다 언론의 황색 저널리즘이 자리잡고 있다"면서 "피해자들의 인권은 고려되지않고, 일방적으로 매스미디어들은 사건을 무책임하게 확대 재생산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포털사이트의 뉴스 서비스에 대해 "새로운 편집 권력으로 등장하고있는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 역시 최소한의 자정노력이 없을 경우, 저급문화의 유통지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익명성과 확산성 등 인터넷 책임론에 대해서는 "인터넷의 문제점은 이미오래전부터 존재했던 것이고, 오히려 이런 익명성과 확산성이 사회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장점으로 부각되기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사건의 전개과정은 다분히 일부의 책임회피성 의제전환이라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건은 민주주의 과정에서 드러난 인권의식과 언론의 문제점의 한단면을 보여준 것이지 결코 인터넷의 방임주의와 무책임성, 윤리성 등이 핵심적인원인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는 최진순 서울신문 기자, 심규진 미디어다음 기자, 이문원 문화평론가, 문건영 변호사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서울/연합뉴스)
미디어 |
“‘연예인 X파일’ 언론보도 선정적, 본질 흐려” |
'연예인 문건 파문'과 관련된 언론보도가 선정적이며 사건의 본질을 흐렸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이사장 이명순)은 16일 오후 2시 서울 충정로 한백교회에서 '연예인 X파일 사건으로 돌아본 연예인 관련보도와 인권침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전미희 민언련 상임협동사무처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 김은주 민언련 협동사무처장은 10개 일간지와 4개 스포츠신문의 보도와 사설을 모니터한 결과를토대로 "언론은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은 커녕 냄비적이고 본질흐리기식 태도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 사건과 관련된 언론보도의 문제점으로 △회사이름 이니셜 처리 및 입장 대변 등 제일기획 감싸기 △네티즌 책임론 제기해 희생양 삼기 △인권침해 소지 지적하면서도 파일내용 보도해 호기심 자극 등을 지적했다.
언론사 별로는 한겨레, 경향신문, 한국일보, 문화일보의 보도가 본질을 제대로 짚고 문제의 원인을 분석해 돋보였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 문건의 확산에 큰 역할을 했던 포털사이트에 대해서는 "포털사이트의위상 재정립과 감시, 자정요구도 앞으로의 과제"라며 포털사이트의 선정성 경쟁을막을 방안의 논의를 촉구했다.
또 다른 발제자인 송경재 인천대 대학원 강사는 이번 파문과 관련된 언론의 문제점과 인터넷 책임론에 대한 의견을 발표했다.
그는 이번 사건에 대해 "인터넷의 특성과 집단 관음증, 훔쳐보기 심리 그리고그동안 이를 꾸준히 방치 내지는 조장했던 언론이 만들어낸 합작품"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 사건과 관련된 뉴스분석을 바탕으로 "'연예인 X파일' 사건의 배후에는 무엇보다 언론의 황색 저널리즘이 자리잡고 있다"면서 "피해자들의 인권은 고려되지않고, 일방적으로 매스미디어들은 사건을 무책임하게 확대 재생산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포털사이트의 뉴스 서비스에 대해 "새로운 편집 권력으로 등장하고있는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 역시 최소한의 자정노력이 없을 경우, 저급문화의 유통지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익명성과 확산성 등 인터넷 책임론에 대해서는 "인터넷의 문제점은 이미오래전부터 존재했던 것이고, 오히려 이런 익명성과 확산성이 사회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장점으로 부각되기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사건의 전개과정은 다분히 일부의 책임회피성 의제전환이라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건은 민주주의 과정에서 드러난 인권의식과 언론의 문제점의 한단면을 보여준 것이지 결코 인터넷의 방임주의와 무책임성, 윤리성 등이 핵심적인원인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는 최진순 서울신문 기자, 심규진 미디어다음 기자, 이문원 문화평론가, 문건영 변호사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서울/연합뉴스)
그는 이 사건과 관련된 뉴스분석을 바탕으로 "'연예인 X파일' 사건의 배후에는 무엇보다 언론의 황색 저널리즘이 자리잡고 있다"면서 "피해자들의 인권은 고려되지않고, 일방적으로 매스미디어들은 사건을 무책임하게 확대 재생산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포털사이트의 뉴스 서비스에 대해 "새로운 편집 권력으로 등장하고있는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 역시 최소한의 자정노력이 없을 경우, 저급문화의 유통지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익명성과 확산성 등 인터넷 책임론에 대해서는 "인터넷의 문제점은 이미오래전부터 존재했던 것이고, 오히려 이런 익명성과 확산성이 사회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장점으로 부각되기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사건의 전개과정은 다분히 일부의 책임회피성 의제전환이라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건은 민주주의 과정에서 드러난 인권의식과 언론의 문제점의 한단면을 보여준 것이지 결코 인터넷의 방임주의와 무책임성, 윤리성 등이 핵심적인원인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는 최진순 서울신문 기자, 심규진 미디어다음 기자, 이문원 문화평론가, 문건영 변호사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