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3.06 20:12
수정 : 2018.03.27 11:55
‘금연치료’ 사업 치료제 처방, 전체 1572곳중 9.9%뿐
최근 석달 동안 치료실적 있는 곳도 92곳에 그쳐
“보건소 평가항목에 금연 치료 실적 넣을 필요”
담배를 끊고자 하는 흡연자들은 금연치료를 받을 곳으로 지역마다 있는 보건소를 쉽게 떠올리지만, 정작 금연치료 사업에 참여해 의사 진단이 필요한 금연치료제를 처방하는 보건소는 10곳 가운데 1곳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해 금연치료에 참여한 전체 의료기관은 1만2706곳인데, 이 가운데 보건소 등 보건기관은 156곳(전체의 1.2%)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등 보건기관만 따지면 전체 1572곳 가운데 9.9%였다. 특히 최근 3개월 동안 금연치료 실적이 있는 보건소는 지난 1월말 기준 92곳에 불과했다.
2015년부터 시행 중인 금연치료 사업은 금연 상담과 니코틴 패치 등 금연 보조용품을 제공하는 금연클리닉과 달리, 의사가 금연치료제 등 전문의약품을 처방해 금연 성공률을 높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전체 금연치료 이용자 수는 40만8천여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병·의원을 이용한 사람은 36만7천여명으로 전체의 90%를 기록했다. 보건소 등 보건기관 이용자는 5.8%(2만4천여명)에 불과했다.
미국에서는 금연치료를 받고 6개월 이상 금연에 성공한 비율이 26%로, 금연보조제 사용 때 성공률 19%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도 금연치료 비용을 건강보험에서 지원하는 등 적극 참여를 권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보건소 평가 항목에 금연치료 사업 실적을 넣은 이후 사업 참여 보건소가 2016년 5곳에서 25곳으로, 이용 실적은 같은 기간 890명에서 6112명으로 늘었다. 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서울시처럼 보건기관 평가항목에 금연치료 실적을 넣는 방안을 다른 지방자치단체에도 적용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당장 금연치료제를 처방할 의사 등 인력이 부족한 보건소는 주변 의료기관과 연계 서비스를 갖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성규 국가금연지원센터장은 “금연 사업은 전통적으로 보건소가 해온 만큼,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들이 금연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건소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보건소에 당장 금연치료를 담당할 의사를 추가로 고용할 수 없다면 보건소를 찾은 이용자들이 금연치료제를 처방받을 수 있도록 주변 병의원과의 협력 체계라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