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4.12 11:59 수정 : 2018.04.12 11:59

국립환경과학원 국가기준시스템 평가장에서 성능 평가를 했다.

송옥주·강병원 의원실, 환경부 실험 결과 공개
“70% 미만이면 제 기능 못 해…인증제 도입 필요”

국립환경과학원 국가기준시스템 평가장에서 성능 평가를 했다.
시중에서 판매 중인 간이측정기 16개의 성능 평가 결과 7개의 정확도가 7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격이 비싸 정확한 편으로 알려진 설치형과 거치형 측정기만 조사한 결과인데, 시민들이 사는 저가 간이측정기는 정확도가 더 낮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미세먼지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성능 평가를 토대로 성능 등급 인증 기준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강병원 의원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은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시중에서 판매된 간이측정기 16개 제품에 대해 실시한 성능 평가 실험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측정 정확도와 자료 획득률 등을 실험했다. 측정 대상은 별도 설치 장소가 필요한 중형 측정기 12종과 공중전화부스나 옥상 등에 설치할 수 있는 간이형(휴대, 거치형) 4종 등 총 16종으로 한정했다. 시민들이 구매해 쓰거나 공기청정기에 내장된 5만원 이하 센서형은 조사하지 않았다.

평가 결과 정확도 편차가 심했다. 설치형 12개의 정확도는 48%~86%까지 다양했다. 80%이상이 3개, 70%이상이 5개, 50~60%가 3개, 50%도 안되는 제품이 1개였다. 거치형 4개는 50.9~79%였다. 70% 이상이 1개, 50~60% 사이가 3개였다. 전체적으로 정확도가 70%가 되지 않는 제품이 16개 중 7개였다.

비싸다고 좋은 것도 아니었다. 어떤 설치형 측정기는 가격이 1300만원이나 되지만 정확도는 48.3%로 매우 낮았다. 80만원 하는 거치형 정확도 64.1%보다 낮았다. 의원실 쪽은 “정확도가 70% 미만이면 측정기나 계측기라고 부르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시민들이 구입해쓰는 3~5만원짜리 센서형 간이측정기는 정확도가 더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2016년 센서방식 측정기 7개에 대해 평가한 결과, 정확도가 10~49%로 매우 낮았다.

이달 국회 통과가 예상되는 미세먼지특별법에 간이측정기 성능인증제 내용이 담길 전망이다. 인증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송옥주·강병원 의원은 “간이측정기를 사용하는 시민과 민간기관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성능인증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사용실태를 면밀하게 검토해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실험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대기측정기지침을 참고했다. 측정방식은 광산란 방식이었고 PM2.5를 측정했다. 광산란이란 빛의 반사를 이용한 물리현상인 광산란 방식으로 미세먼지 입자와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사진 송옥주·강병원 의원실 제공

1100만원짜리 중형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정확도가 86%로 높은 편인 제품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