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중앙위에서 지도부의 사퇴여부와 사퇴시 지난해 1월 전당대회에서 4위를해 의장승계권을 갖고 있는 이미경(李美卿) 상임중앙위원 체제로 갈지 아니면 비상대책기구 형태로 갈지 속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지도부 총사퇴가 이뤄질 경우 우리당은 새해 벽두부터 구심점을 잃고 당권투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다. 일각에서는 당장 새 지도부를 구성할 4.2 전당대회와 4월 국회의원 재보선은 물론 멀리 2006년 6월 지방선거와 개헌논의를 앞두고 각 계파간 주도권 다툼이 조기에 막을 올리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집권 3년차를 적극 뒷받침해야할 집권여당이 연초부터 당권경쟁에 돌입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어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천 원내대표가 사퇴한 만큼 동반사퇴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진 이 의장이 자신의 뜻과 관계없이 자리를 지키게될 개연성도 배제할수 없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새해 경제회복과 북핵문제 해결, 국민통합을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고, 국보법 파동을 계기로 대화와 타협을 중시하는 중진들이 원리주의 성향의 소장.강경파를 밀어내고 당의 전면에 부상한 점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우선 당권파와 재야파 사이에서 '균형추' 역할을 해온 친노(親盧) 직계 그룹에서는 이 의장 유임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엿보이고 있다. 어차피 차기 지도부에서의 자신들의 부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조기 당권경쟁은 그다지 이로울 게 없다는 계산도 깔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김혁규(金爀珪) 의원은 "새로운 당헌을 적용한다면 비대위 구성도 확실하지 않고 이 의장이 사퇴하면 지도부가 총사퇴해야 한다"며 "우선 당내부를 추슬러야 되는것 아니냐는게 중진들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반면 당권파는 내부적으로 의견이 다소 갈려있으나, 지도부 총사퇴 및 비대위 구성으로 방향을 모아가는 듯한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한 핵심 인사는 "전대까지 새 원내대표 중심의 비대위 체제로 가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특히 천 원내대표의 사퇴가 '천(千).신(辛).정(鄭)' 3인방의 2선 후퇴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데다,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의 지난해 6월 통일부 장관 입각이후 재야파가 당과 원내에서 약진하고 있는 현실도 조기 기선 제압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근태(金槿泰) 보건복지부 장관을 정점으로 한 재야파의 경우 여야 협상과정에서 '대체입법'을 통한 절충을 모색한 이 의장의 인책사퇴를 요구하는 한편 국보법 폐지원칙을 고수해온 이미경 위원의 승계 쪽으로 방향을 정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런 가운데 1월말께 실시될 차기 원내대표 경선도 지도부의 향배와 관련해 무시못할 변수로 거론된다. 전대 출마를 밝혔거나 시사했던 문희상(文喜相) 정세균(丁世均) 장영달(張永達) 배기선(裵基善) 의원 등 핵심 중진들이 원내대표 경선쪽으로 방향을 틀 경우 당내 역학구도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을 비롯한 여권 수뇌부를 중심으로 여당 중진그룹의 역할론이 집중 개진되고 있어 주목된다. 집권 3기를 맞은 청와대와 정부가 축적된 역량을 한껏 발휘할 수 있도록 여당이 뒷받침해달라는 시그널로 해석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서울=연합뉴스)
정치일반 |
우리당 지도부,총사퇴 여부 주목‥개혁입법 무산 ‘후폭풍’ |
열린우리당이 연초부터 국가보안법 폐지안 등 주요 개혁입법의 무산에 따른 '후폭풍' 속으로 빨려들고 있다.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가 1일 임시국회 폐회 직후 개혁입법 처리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데 이어 이부영(李富榮) 의장을 비롯한 지도부도 3일 상임중앙위원회를 열어 일괄사퇴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3일 중앙위에서 지도부의 사퇴여부와 사퇴시 지난해 1월 전당대회에서 4위를해 의장승계권을 갖고 있는 이미경(李美卿) 상임중앙위원 체제로 갈지 아니면 비상대책기구 형태로 갈지 속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지도부 총사퇴가 이뤄질 경우 우리당은 새해 벽두부터 구심점을 잃고 당권투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다. 일각에서는 당장 새 지도부를 구성할 4.2 전당대회와 4월 국회의원 재보선은 물론 멀리 2006년 6월 지방선거와 개헌논의를 앞두고 각 계파간 주도권 다툼이 조기에 막을 올리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집권 3년차를 적극 뒷받침해야할 집권여당이 연초부터 당권경쟁에 돌입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어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천 원내대표가 사퇴한 만큼 동반사퇴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진 이 의장이 자신의 뜻과 관계없이 자리를 지키게될 개연성도 배제할수 없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새해 경제회복과 북핵문제 해결, 국민통합을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고, 국보법 파동을 계기로 대화와 타협을 중시하는 중진들이 원리주의 성향의 소장.강경파를 밀어내고 당의 전면에 부상한 점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우선 당권파와 재야파 사이에서 '균형추' 역할을 해온 친노(親盧) 직계 그룹에서는 이 의장 유임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엿보이고 있다. 어차피 차기 지도부에서의 자신들의 부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조기 당권경쟁은 그다지 이로울 게 없다는 계산도 깔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김혁규(金爀珪) 의원은 "새로운 당헌을 적용한다면 비대위 구성도 확실하지 않고 이 의장이 사퇴하면 지도부가 총사퇴해야 한다"며 "우선 당내부를 추슬러야 되는것 아니냐는게 중진들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반면 당권파는 내부적으로 의견이 다소 갈려있으나, 지도부 총사퇴 및 비대위 구성으로 방향을 모아가는 듯한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한 핵심 인사는 "전대까지 새 원내대표 중심의 비대위 체제로 가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특히 천 원내대표의 사퇴가 '천(千).신(辛).정(鄭)' 3인방의 2선 후퇴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데다,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의 지난해 6월 통일부 장관 입각이후 재야파가 당과 원내에서 약진하고 있는 현실도 조기 기선 제압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근태(金槿泰) 보건복지부 장관을 정점으로 한 재야파의 경우 여야 협상과정에서 '대체입법'을 통한 절충을 모색한 이 의장의 인책사퇴를 요구하는 한편 국보법 폐지원칙을 고수해온 이미경 위원의 승계 쪽으로 방향을 정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런 가운데 1월말께 실시될 차기 원내대표 경선도 지도부의 향배와 관련해 무시못할 변수로 거론된다. 전대 출마를 밝혔거나 시사했던 문희상(文喜相) 정세균(丁世均) 장영달(張永達) 배기선(裵基善) 의원 등 핵심 중진들이 원내대표 경선쪽으로 방향을 틀 경우 당내 역학구도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을 비롯한 여권 수뇌부를 중심으로 여당 중진그룹의 역할론이 집중 개진되고 있어 주목된다. 집권 3기를 맞은 청와대와 정부가 축적된 역량을 한껏 발휘할 수 있도록 여당이 뒷받침해달라는 시그널로 해석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서울=연합뉴스)
3일 중앙위에서 지도부의 사퇴여부와 사퇴시 지난해 1월 전당대회에서 4위를해 의장승계권을 갖고 있는 이미경(李美卿) 상임중앙위원 체제로 갈지 아니면 비상대책기구 형태로 갈지 속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지도부 총사퇴가 이뤄질 경우 우리당은 새해 벽두부터 구심점을 잃고 당권투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다. 일각에서는 당장 새 지도부를 구성할 4.2 전당대회와 4월 국회의원 재보선은 물론 멀리 2006년 6월 지방선거와 개헌논의를 앞두고 각 계파간 주도권 다툼이 조기에 막을 올리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집권 3년차를 적극 뒷받침해야할 집권여당이 연초부터 당권경쟁에 돌입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어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천 원내대표가 사퇴한 만큼 동반사퇴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진 이 의장이 자신의 뜻과 관계없이 자리를 지키게될 개연성도 배제할수 없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새해 경제회복과 북핵문제 해결, 국민통합을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고, 국보법 파동을 계기로 대화와 타협을 중시하는 중진들이 원리주의 성향의 소장.강경파를 밀어내고 당의 전면에 부상한 점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우선 당권파와 재야파 사이에서 '균형추' 역할을 해온 친노(親盧) 직계 그룹에서는 이 의장 유임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엿보이고 있다. 어차피 차기 지도부에서의 자신들의 부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조기 당권경쟁은 그다지 이로울 게 없다는 계산도 깔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김혁규(金爀珪) 의원은 "새로운 당헌을 적용한다면 비대위 구성도 확실하지 않고 이 의장이 사퇴하면 지도부가 총사퇴해야 한다"며 "우선 당내부를 추슬러야 되는것 아니냐는게 중진들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반면 당권파는 내부적으로 의견이 다소 갈려있으나, 지도부 총사퇴 및 비대위 구성으로 방향을 모아가는 듯한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한 핵심 인사는 "전대까지 새 원내대표 중심의 비대위 체제로 가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특히 천 원내대표의 사퇴가 '천(千).신(辛).정(鄭)' 3인방의 2선 후퇴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데다,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의 지난해 6월 통일부 장관 입각이후 재야파가 당과 원내에서 약진하고 있는 현실도 조기 기선 제압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근태(金槿泰) 보건복지부 장관을 정점으로 한 재야파의 경우 여야 협상과정에서 '대체입법'을 통한 절충을 모색한 이 의장의 인책사퇴를 요구하는 한편 국보법 폐지원칙을 고수해온 이미경 위원의 승계 쪽으로 방향을 정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런 가운데 1월말께 실시될 차기 원내대표 경선도 지도부의 향배와 관련해 무시못할 변수로 거론된다. 전대 출마를 밝혔거나 시사했던 문희상(文喜相) 정세균(丁世均) 장영달(張永達) 배기선(裵基善) 의원 등 핵심 중진들이 원내대표 경선쪽으로 방향을 틀 경우 당내 역학구도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을 비롯한 여권 수뇌부를 중심으로 여당 중진그룹의 역할론이 집중 개진되고 있어 주목된다. 집권 3기를 맞은 청와대와 정부가 축적된 역량을 한껏 발휘할 수 있도록 여당이 뒷받침해달라는 시그널로 해석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