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11.11 20:15
수정 : 2015.11.11 22:15
한국투자공사 운영 감사 결과
각종 투자 부당 관여해 특정사 선정
수백억 수수료 특혜 등 비위 심각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후보 캠프에서 활동하며 트위터에 “노무현은 종북 하수인”이라고 비난한 안홍철 한국투자공사(KIC) 사장에 대한 감사원의 해임 요구는 불발됐다. 감사원은 이미 사표를 내고 퇴직한 안씨의 비위 행위를 확인하고 “공기업 재취업을 제한하라”고 기획재정부 장관 등에게 11일 요구했다.
감사원의 ‘한국투자공사 운영 실태’ 감사 결과를 보면, 안 전 사장은 지난해 12월 투자실무위원이 아닌데도 투자실무위원회에 참석해 ‘유에스 바이아웃(US buyout) 전략’ 펀드 투자 때 특정 자산운용사에 대한 투자 금액을 늘리라고 사실상 지시해 투자공사가 애초 1억5000만달러의 투자금을 3억달러로 증액해 심의·의결했다. 위탁금액을 늘린 결과 탈락해야 할 업체가 운용사로 선정돼 5년간 2250만달러(260억원)의 수수료를 받는 특혜를 얻게 됐다고 감사원은 설명했다.
안 전 사장은 지난 4월 ‘절대수익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때도 특정 운용사를 의도적으로 지목하거나 특정 운용사와 면담을 하며 임의로 위탁운용사 2곳을 선정한 사실도 드러났다. 투자공사는 이 운용사 2곳에 각 3억달러씩 투자했고 이 업체들은 각각 연간 300만달러(34억원), 120만달러(13억원)의 수수료를 얻게 됐다.
한국투자공사가 미국 엘에이(LA)다저스 야구단 투자 때 자문사 평가 기준을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변경해 특혜를 준 사실도 적발됐다. 투자공사가 이 업체에 준 수수료 25만달러(2억9000만원)만큼 외국환평형기금의 손실이 초래됐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이밖에도 한국투자공사는 대체투자 분야에서 경험이 부족한데도 직접투자에 나서 7000억여원의 손실을 봤다.
감사원은 국회의 요구로 7월부터 한국투자공사에 대한 감사를 벌였다. 안 전 사장은 감사위원회 의결이 열린 6일 임기 1년을 남겨두고 갑자기 사표를 냈고 바로 수리됐다. 안 전 사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뿐 아니라 박원순 서울시장, 안철수 의원, 박창신 원로신부, 방송인 김미화씨 등도 비방해 야당의 줄기찬 사퇴 요구를 받았지만 꿋꿋이 버텨왔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