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오석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왼쪽), 이영찬 보건복지부 차관이 24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무상보육 전면화와 지방세인 취득세율 영구 인하 방침에 따라 줄어드는 지방재정 보전방안 사전 기자 설명회를 마친 뒤 일어나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
‘중앙·지방 재원 조정방안’ 발표 파장
지방소비세 이전율 ‘이견’정부 “2년동안 3%p씩 인상”
지방 “내년에 11%p 올려야
법개정 아닌 시행령 못믿어” ‘돈 덜드는 것’만 정부 환원
정신·장애인시설 가져가고
규모 큰 노인요양시설은 빼 기초연금 재원 1조는 빠져
“소득하위 70% 차등지급땐
지방재정서 1조 추가 소요” 정부가 25일 지방정부에 대한 영유아 보육료의 국고 기준보조율을 10%포인트만 올리는 방안을 확정함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 파기 논란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국고 보조율을 10%포인트 올리는 데 그치는 것은 ‘국가 무상보육’ 공약과 ‘지방재정 확충’ 공약을 동시에 깨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날 내놓은 정부안을 간추리면, 정부는 내년부터 10년 동안 지방정부 재정을 연 5조원 확충한다. 취득세율 영구인하에 따른 지방세수 감소액 연 2조4000억원은 지방소비세 전환율을 6%포인트 올려 감당하게 한다는 것이다. 지방정부 재정을 확충한다고 했지만, 지방정부들은 “눈 가리고 아웅”(서울시)이라고까지 하며 강력히 반발했다. 이는 0~5살 무상보육 등 복지비용이 크게 늘어나는데도 지방정부 요구액의 절반 정도만 챙겨주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방정부의 재정 부담은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기초연금 도입에 따른 추가재정 확보도 문제다. 정부가 65살 이상 노인 모두에게 20만원씩 준다는 공약을 파기하고 소득하위 70%에게만 10만~20만원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확정했지만, 이 경우에도 지방정부가 추가로 내야 하는 재원이 연 1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정부의 지방재정 확충 방안에는 이에 대한 대책이 없다. 현오석 기획재정부 장관은 “여러 이슈에 대해 지방과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지방재정이 열악한 상황에서 지방소비세 전환율은 지방정부 공통의 관심사였다. 그동안 지방정부들은 5%포인트 인상은 이미 지난 정부가 약속한 것인 만큼, 전환율을 11%포인트 올린 16%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는 2009년 9월 부가가치세의 5%를 지방정부로 돌리는 지방소비세를 도입하면서, 올해 5%포인트를 추가 인상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당시 ‘지방소비세’는 지방정부에 넘기던 부동산교부세를 폐지한 데 따른 지방세수 감소를 보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는 올해 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
![](http://img.hani.co.kr/section-image/12/news/hani/images/com/ico/ico_movie.gif)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