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9.12 20:00 수정 : 2013.09.12 21:40

박원순 서울시장(오른쪽)과 세빛둥둥섬 최대 출자자인 이상운 효성 대표이사가 12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세빛둥둥섬 건물 안에서 ‘세빛둥둥섬 운영 정상화 합의 조인식’을 마친 뒤 걸어나오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서울시-시행사, 운행 정상화 합의

무상사용 기간 20년으로 줄이고
지체보상금 92억 공공성 확보에

12일 부분 개장…내년 전면 개방
장마철 운영 중단 등 결함 탓에
운영사 선정 해결 과제로 남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벌인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상징이자, 보여주기식 낭비 행정의 대표 사례로 꼽혀온 인공섬 세빛둥둥섬 3개 섬의 일부가 12일 시민들에게 개방됐다. 이로써 오 시장이 펼친 한강 르네상스 역점사업들이 모두 정리됐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세빛둥둥섬의 사업 시행사인 ㈜플로섬의 최대 출자자인 효성그룹의 이상운 대표이사는 이날 서울 반포대교 남단에 있는 세빛둥둥섬 2섬에서 ‘세빛둥둥섬 운영 정상화 합의서’에 서명했다. 2011년 9월 섬이 완공됐지만 경제적 타당성 부족, 부실 설계·시공 등이 서울시와 감사원 감사에서 드러나면서 2년 동안 출입이 통제돼왔다.

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서울시와 효성이 각자 주장을 한발씩 양보해 하루라도 빨리 시민들이 섬을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 데 뜻을 같이해 이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를 줄여 한강 공공성 훼손을 막아야 한다’는 원칙과 ‘완공된 건물을 그대로 놔둘 수 없다’는 현실을 절충했다는 것이다.

양쪽의 합의 내용을 보면, 효성 쪽의 무상사용 기간은 기존의 30년에서 20년으로 줄었고 대신 그 뒤 10년 동안 효성이 유상으로 섬을 사용하기로 했다. 운영 지연에 따라 시가 플로섬 쪽에 부과한 지체보상금 92억원은 섬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전액 투자된다. 운영의 구체적인 방식은 시 조례로 정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합의서 서명 자리에서 “갈등의 잔재인 세빛둥둥섬이 사회적 협력, 민관 협력으로 수많은 난관을 극복하고 마침내 새롭게 출발한다. 세빛둥둥섬이 수상 스포츠와 레저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서울의 대표적 문화관광 명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와 효성이 세빛둥둥섬의 운영 정상화에 합의함에 따라, 이날부터 세빛둥둥섬의 외부공간과 내부공간 일부가 시민들에게 개방됐다. 한강 옛 사진 100여점이 다음달 6일까지 전시되며, 운영사가 선정되는 대로 내부 마감 공사를 거쳐 내년에 전면 개방할 예정이다. 내년 정식 개장 뒤엔 각종 레저시설과 공연장, 쇼핑몰이 들어서는 복합문화시설이 될 전망이다.

다만 앞으로 운영사 선정 등은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플로섬이 세빛둥둥섬 준공 이전인 2010년 9월부터 운영사를 모집했지만 지금까지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2011년 6월 이후 한강 둔치와의 연결도교 구조 개선 공사가 늦어져 개장이 연기된 데 따른 것이지만, 국지성 호우가 잦은 6~7월 장마 때마다 수시로 문을 닫아야 하는 ‘구조적 결함’ 탓에 사업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세빛둥둥섬은 면적 9995㎡인 세계 최대의 수상 인공섬이다. 오세훈 시장 때인 2006년 민자사업자가 시설물을 30년 동안 소유·운영한 뒤 시에 소유권을 넘기는 민자유치(BOT) 방식으로 추진됐으며, 효성이 57.8%, 서울시 공기업 에스에이치공사가 29.9%의 지분을 갖고 있다.

그러나 감사원은 2011년 6월 세빛둥둥섬을 포함한 오 전 시장의 한강 르네상스 사업을 두고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한데도 무리하게 추진했다”고 지적했고, 서울시도 박원순 시장 취임 뒤인 지난해 7월 감사를 통해 세빛둥둥섬을 ‘총체적 부실’로 결론냈다. 올해 초엔 대한변호사협회가 지방자치단체의 대표적인 예산 낭비 사례로 세빛둥둥섬 사업을 꼽고 오 전 시장 등을 검찰에 수사의뢰하기도 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