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공직자 71%가 재산 늘어..평균 11억7천만원 |
정부 고위공직자 10명 가운데 7명이 지난 한 해 동안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교일 서울중앙지검장(검사장)의 재산은 무려 20억원 늘었다. 고위공직자들의 재산 평균은 11억7000만원이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해 한 해 동안 고위공직자들의 재산 변동사항 신고내역을 29일 관보에 공개했다. 공개 대상자는 국가 정무직과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대학총장과 공직 유관단체장 등 770명에다 기초·광역지방자치단체장과 광역의회 의원, 시·도교육감 등 1163명까지 모두 1933명이다.
이들의 신고 재산 평균은 11억7000만원으로, 전체의 71.3%인 1378명이 재산을 늘렸다. 평균액은 한 해 전보다는 1200만원 줄었는데, 고액 자산을 보유한 공직자가 대상에서 빠진데다 재산이 줄어든 이들의 감소폭이 컸던 탓이다.
김석진 안전행정부 윤리복무관은 “고위공직자들이 주로 사는 서울·인천지역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하락했고, 지난해 309억원의 재산을 신고했던 전혜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원장이 대상에서 빠지면서 전체 평균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이는 최교일 서울중앙지검장으로, 1년 동안 20억404만원이 늘어난 119억7134만원을 자신의 재산으로 신고했다. 최 검사장은 배우자의 ㅎ은행 예금이 15억7760만원이 느는 등 예금 소득 증가가 두드러졌다.
다음으로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비서관인 김기수씨가 주식 매각 등으로 15억8660만원이 늘어난 86억8446만원을 신고했고, 임명규 전남도의원이 14억6133만원이 불어난 72억4957만원을 신고했다. 정성후 전북대병원장, 정만규 경남 사천시장, 이교범 경기 하남시장도 재산이 11억~13억원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정 병원장은 증가분 중 11억2000만원이 기관용 통장의 명의를 개인 명의로 바꾸면서 늘어난 것이라고 해명했다.
광역자치단체장 가운데 박원순 서울시장은 한 해 전보다 빚이 2억8416만원이 늘어 부채 5억9473만원을 신고했다. 선거보전금의 일부 기부, 선거자금 모금을 위해 만들었던 박원순 펀드 상환 때문이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한 현 정부 고위직들의 재산은 대통령의 임기 시작 3개월 뒤인 5월25일 이후 공개될 예정이다. 현 공직자윤리법은 임기 시작 뒤 두 달 안에 재산을 신고하고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이를 한 달 안에 공개하게 돼 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