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10 18:24 수정 : 2019.12.11 02:39

지난 2월27일 하노이에서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 악수하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하노이/AFP 연합뉴스

지난 2월27일 하노이에서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 악수하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하노이/AFP 연합뉴스

북한이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대단히 중대한 시험’을 했다고 발표한 뒤로 북-미 대치가 한층 격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향해 경고 메시지를 내놓자 북한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맞받아치며 긴장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이 북한 도발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소집까지 요구했다. 일촉즉발의 한반도 위기 국면이 어디까지 악화할지 알 수 없다.

안보리 회의는 애초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하려던 것을 미국의 요구로 하루 미뤄 11일 열리게 됐다. 미국은 의제를 바꿔 북한의 최근 잇단 미사일 발사와 향후 도발 확대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안보리 소집은 북한에 경고를 하려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런 대응이 북한의 더 큰 반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상황 전개를 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북한도 이 시점에서 국제사회가 북한의 동향을 눈여겨보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만약 인공위성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강행한다면 국제사회의 압박은 더욱 커지고 북한의 고립도 심해질 수밖에 없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 ‘적대적으로 행동한다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고 이례적으로 강력한 경고를 내놨고, 북한도 즉각 강도 높은 반격을 가했다. 물론 막판 타협의 가능성이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다. 김영철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격돌의 초침을 멈춰 세우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고 한 것은 북한이 타협을 원하고 있다는 심중을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도 상황 악화를 원치 않는 것은 분명하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북한과 협상하고 싶다’고 밝힌 것도 상황 반전을 희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파국이냐 타협이냐’의 갈림길이 눈앞에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은 외교로 사태를 풀어낼 시간은 남아 있다. 특히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예정된 스티븐 비건 대북특별대표 방한 중에 북-미 접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모든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는 것도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과 더 긴밀히 소통해 ‘파국을 피해야 한다’는 우리의 의사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가능하다면 특사를 보내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도 알아봐야 한다. 북-미의 벼랑 끝 대치가 파국적 결말로 끝나면 한반도 긴장은 전례 없이 높아질 것이고 최대 피해자는 우리가 될 수도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