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5.06 18:40 수정 : 2019.05.06 19:29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가 4월17일 서울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코오롱생명과학에 대한 수사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대한 특별감사를 주장하고 있다. 무상의료운동본부 제공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가 4월17일 서울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코오롱생명과학에 대한 수사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대한 특별감사를 주장하고 있다. 무상의료운동본부 제공
코오롱생명과학의 미국 내 자회사인 코오롱티슈진(티슈진)이 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의 성분이 뒤바뀐 사실을 최소 2년 전부터 알고 있었던 정황이 새로 드러났다. 이는 최근에야 성분 변경을 알았다는 여태까지의 해명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그런데도 코오롱생명과학은 “티슈진이 보고하지 않아 모르고 있었다”며 자회사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으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의 해명은 여러모로 곧이듣기 어렵다. 주식시장이 마감하고 긴 연휴에 들어간 3일 오후 5시38분에야 이 사실을 공시한 것부터가 파장을 축소하기 위한 ‘올빼미 공시’의 전형이다. 법적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 제약사의 추가 소송 내용을 보고 문제를 파악했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소송 과정에서 이 문제가 알려지는 건 시간문제라 보고, 인지 시점이라도 최대한 늦춰 보려는 꼼수가 아닌지 의심스럽다.

설령 코오롱생명과학의 주장이 사실이라 해도 모회사로서의 책임은 조금도 줄지 않는다. 티슈진이 위탁생산업체의 보고를 받아 인보사의 성분 변경을 알았다는 2017년 3월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앞둔 민감한 시기였던 만큼 모든 정보를 정확히 꿰고 있어야 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의 주장은 첨단 유전자 바이오 기업이라는 곳의 관리·감독 시스템이 보따리 약장수보다 못하다는 걸 자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동안 코오롱생명과학의 해명은 “몰랐다”와 “실수였다”가 전부였다. 허가받은 성분과 실제 성분이 다른 사실을 10여년 동안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첨단 과학은커녕 일반 상식으로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어쩌다 이런 기업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바이오 기업이 됐고, 결과적으로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의 신뢰를 잃을 위기에 처하게 됐는지 심각하게 돌아봐야 한다.

‘인보사 사태’는 정확한 사실관계 못지않게 바이오 산업과 관련한 구조적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첨단재생의료법’으로 대표되는 무분별한 규제완화를 이번 사태의 본질로 꼽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인허가 기관이 제 역할을 다했다면 상황이 달라졌을 거라는 얘기다.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뒷전에 두는 바이오 산업 육성 정책을 재검토하지 않으면 ‘인보사 사태’는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을 정부는 무겁게 받아들이기 바란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