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냐면
학교, 민주적 의견 수렴 없이20년 전 물러난 옛 재단 복귀 요청
비리 등 퇴장 사유 지금도 유효
재력보다 깨끗한 정체성 더 절실 대구의 영남대는 아직도 정관에 박정희 전 대통령을 ‘교주’로 모시고 있다. 1989년 이래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해 오다가 2006년 당시 교육부의 ‘정상화’ 대상이 되어, 그 방안을 제출하게끔 지시를 받았다. 이번에 학교당국은 구성원의 의사라면서, 1989년 물러간 옛 박근혜 재단의 복귀를 요청했으며 이를 이른바 ‘정상화 방안’으로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했고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이를 토대로 심의한다고 한다. 우리는 이런 상황을 어처구니없는 사태로 본다. 우선 ‘학교의 구성원’ 중에는 ‘민주 교수회’, ‘민주동문회’, ‘총학생회’, ‘비정규교수 노동조합’ 등 여기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다. 왜 1989년에 박근혜 재단이 물러가게 됐는가? 그것은 오랜 군사독재에서 점진적으로 쟁취한 민주세력 승리의 한 토막이었다. 1987년 민주화 열풍이 분 다음해 1988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그 재단은 대통령 권력의 남용으로 탄생한 대학 비리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당했다. 여기 더하여 재정 부정, 입학 부정 등을 신랄하게 비판받고 퇴장했다. 한마디로 환골탈태가 필요하다고 했는데, 지금도 하등 변함이 없다. 지금 주무 행정부처에서 그러한 ‘정상화 방안’을 받아들인다면, 행정의 불합리성이란 측면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당시 박근혜씨는 “완전히 손떼겠다”고 했고, 교수·학생들은 한결같이 이것을 “발전적 계기로 삼아야 한다. … 앞으로 영남대는 재력이나 권력의 지원보다 이념의 뒷받침이 절실하고, 이런 차원에서 재단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다짐했다.(<조선일보> 1988년 11월3일) 그리고 2006년 당시 교육부 공문에는 학교 발전에 기여한 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현실성 있는 합의안을 만들어 “이로 인하여 다시금 학내 문제가 야기되는 일이 없도록” 특별히 당부했다. 그런데 이번에 제출된 ‘방안’에는 대구대, 청구대 설립자 쪽의 의사도 제외되어 있는 상태다.
임시이사 파견 직전의 재단을 인정한다는 설이 있는데, 이것은 다른 분규 대학은 모르나, 위에서 말한 이유로 영남대에는 타당치 않은 잣대이다. 다른 대학들과는 문제의 범주가 다른 것이다. 1988년 당시 교수·학생들의 다짐, 즉 앞으로 영남대는 재력이나 권력의 지원보다 깨끗한 정체성과 정신의 뒷받침이 절실하다는 말을 우리는 다시 한 번 되풀이하는 바이다. 윤병태 ‘박근혜재단 복귀저지를 위한 영남대투쟁위원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