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25 20:20 수정 : 2006.01.25 22:31

“권력층 흘린 특종정보 독자가 정말 원할까?”

“아사히 기자들은 아침부터 다음날 새벽 3~4시까지 열심히 신문을 만든다. 그러나 독자들은 신문을 읽는 데 하루 평균 26분 정도만 투자할 뿐이다. 앞으로도 독자들이 뉴스 훑어보기(인덱스)를 위해 매달 구독료 4천엔(4만원)씩을 낼 것인가가 고민의 시작이었다.”

한국을 찾아온 일본 <아사히신문>의 야마세 가즈히코(48) 지면위원(부국장급)은 2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9층에서 열린 한국언론재단 주최의 초청강연에서 최근 아사히가 추진중인 편집국 개혁안의 배경을 설명했다.

물론 아사히가 편집 개혁에 나선 데는 몇 가지 ‘불상사’도 기폭제가 됐다. 지나해 3월 다케후지 취재 협조비 사건, 7월 거짓 메모 사건, 8월말 중의원 총선 기사 날조 사건 등이었다. 그러나 아사히는 이런 윤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편집 부문의 전반적 개혁으로 나아갔다. 8월말 ‘신뢰받는 보도를 위한 위원회’가 활동에 들어갔고, 11월 보고서를 냈으며, 12월 편집 개혁안이 발표됐다. 개혁안은 내부 준비를 거쳐 4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편집 개혁안의 핵심은 한국처럼 출입처와 기자단(일본은 ‘기자클럽’이라고 함) 중심으로 취재를 하는 일본 언론의 병폐를 타파하기 위한 조처였다. 야마세 위원은 “기자들은 정부나 기업의 고위 인사들이 ‘흘린’ 정보를 얻어 특종을 쓰려고 애쓰는데, 그런 정보는 취재원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도 많았다”며 “정작 독자들이 그런 정보를 원하는지는 의문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래서 아사히는 독자들이 좀더 필요로 하는 기사를 다루기 위해 편집국의 기존 부서를 폐지하고 편집국장 아래 특별보도팀을 신설하기로 했다. 편집국 조직을 좀 더 유연하고 신속하며 소통이 원활한 조직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었다. “니트족(25살 미만의 실업자들)은 일본 사회에서 큰 문제인데도 언론이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아마도 전담하는 정부 부처(다시 말해 출입처)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취재하려면 정치부, 사회부, 경제부가 후생노동성, 문부성, 경단련, 경찰청 등을 함께 취재해야 하는데 기존 조직으로는 어려웠다. 이번 조처는 기자단과 부서를 넘어 취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도쿄 본사의 편집국장을 2명으로 늘렸다. 지면담당 국장은 매일의 신문제작과 중장기 지면 전략을, 운영담당 국장은 인사와 기자 교육, 전문기자 육성 등을 맡도록 했다. 야마세 위원은 “지난 10년 동안 일본에서 명문 기업들이 여럿 파산했으며, 이제 아사히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며 “개혁의 성공은 구성원들이 얼마나 위기감을 공유하느냐에 달렸다고 본다”고 말했다.

글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