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천루 도교도청 앞 노숙자 일본 사회가 승자와 패자로 급속하게 양극화하고 있다. 도쿄의 상징인 도쿄도청 앞에서 한 노숙자가 길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잠자고 있다. 도쿄/<한겨레21>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
10명중 2명 저축 ‘0엔’ 빈부격차 10배→168배 고이즈미 압승으로 신자유주의 가속화
일본은 전통적으로 빈부 격차가 적은 나라로 꼽혀왔다. 고도성장기 ‘파이의 분배’에 어느 정도 차이는 있었지만 국민생활 전체가 나아져 대부분이 중산층 의식을 갖게 된 ‘1억 총중류’ 사회로 불렸다. 그러나 그런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몇년 전부터 유행해온 게 ‘가치구미(이긴 쪽)’ ‘마케구미(진 쪽)’의 이분법이다. 사회의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경쟁에서 이기도록 등을 떠미는 구호가 만연해 있다. 지난 총선에서 신자유주의 개혁을 내세운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압승은 소득 재분배가 아니라 심화하는 양극화에 가속도를 더하고 있다. 저축은 몰라=가장 최근에 나온 ‘양극화 지표’는 2일 금융홍보중앙위원회의 조사 발표다. 위원회는 6~7월 일본 전역의 1만80가구를 대상으로 예금·주식·저축성보험을 포함한 금융자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유효 응답자(32.4%)의 22.8%가 저축이 전혀 없다고 대답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0.7%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1953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다. 20대 가구에선 그 비율이 40% 가까이나 된다. 70~80년대에는 ‘저축 제로’ 가구가 전체의 5~7%에 지나지 않았다. 당장 먹고살기에 급급한 저소득층이 지난 30년 사이 얼마나 늘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또 전체 가구의 절반에 가까운 46.2%가 1년 전에 비해 저축이 줄었다고 대답했다. 이유로는 소득 감소와 자녀 교육비·결혼비용 지출 증가, 내구소비재 구입 등이 꼽혔다. 저축이 늘어난 가구는 20.5%에 그쳤다. 전체의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저축 또한 458만엔으로 지난해보다 20만원 감소했다. 그러나 경기 회복세와 맞물려 전체 가구의 평균 저축은 지난해보다 77만엔 늘어난 1129만엔으로 나타났다. 평균값은 늘어났는데 중간값이 줄어든 것은 빈부의 격차가 그만큼 커졌다는 뜻이다. 저소득층에서 저축이 줄어든 이상으로 고소득층의 저축이 늘어난 것이다.
|
일본 소득격차 추이, 각국의 빈곤층 비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