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04 20:33 수정 : 2005.08.04 20:34

제주 일제군비시설 연구하는 일본인 교사 쓰카사키 “일제 침략 제대로 봐야 민주주의 진전”

“일제침략 제대로 봐야 민주주의 진전”

 “침략전쟁을 냉정하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지는 것은 일본의 민주주의 진전과 한·일간 역사 인식의 공유는 물론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입니다”

제주도에 남아 있는 일본군 비행장과 격납고, 각종 터널 등 일본군 전적지를 답사하는 츠카사키 마사유키(49·오사카 이바라키서고등학교) 교사는 이들 일제 강점기의 전적지들을 후세대를 위한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츠카사키는 ‘오사카 부립 학교 재일 외국인 교육연구회’ 소속으로 동료 초·중·고교 교사 15명과 함께 지난 3일부터 2박3일간의 일정으로 제주도 답사에 나섰다.

“지난 2001년 4·3 위령제 행사에 참관했다가 일본이 전쟁 준비를 위해 제주도에 구축한 대규모의 진지 시설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는 그는 귀국한 뒤 오사카에서 도쿄 방위청 도서관을 오가며 제주도와 관련한 각종 자료를 찾아냈고, 이를 토대로 지난 2003년 일본군 전적지 실태를 밝히는 논문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그는 “제주도에 구축된 전쟁 시설은 오키나와의 시설에 비해 규모가 크다”며 “일본이 자국을 위한 전쟁 준비를 제주도에서 했다는 사실을 알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이어 “제주도에서 일본군이 전쟁 준비를 한 것은 일본 국민을 위한 것도 아니며, 조선인들을 위한 것은 더더욱 아니었다”며 “일본의 침략전쟁은 잘못된 전쟁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앞으로의 조사 계획에 대해 그는 “당시 터널이나 각종 군사시설 등을 누가 만들었고, 만들게 했는지 규명해야 한다”며 “전체적인 규모를 조사하는 게 급선무”라고 밝혔다. 그는 “전적지를 남겨두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당시 강제 연행되거나 군속 등으로 징집돼 시설 구축에 참여한 생존자들의 증언 채록이 병행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침략전쟁의 비참함을 한·일의 후세대들에게 알려 평화인식을 심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당시 군사 시설 구축에는 남한만이 아니라 북한쪽 노동자들도 많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남북한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 그는 “실체적 규명을 위해 남북한, 일본의 연구진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이야 말로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주/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