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7.22 22:03 수정 : 2018.07.23 10:57

인도 여성 매체 <블러시 채널> 페이스북 갈무리.

1년간 ‘라후카라간’ 철폐 운동 벌여…40만명 서명
비비시 “생리대 없어 학업 포기하는 여성 많아
대용품 사용해 감염 위험에도 노출”

인도 여성 매체 <블러시 채널> 페이스북 갈무리.
경제적 이유로 여성용품 사용률이 저조했던 인도에서 생리대에 부과됐던 세금이 철폐됐다.

<비비시>(BBC) 방송은 21일 피유시 고얄 임시 재무장관이 “이 나라의 자매들과 엄마들은 생리대가 100% 면세라는 소식을 듣고 행복해 할 것”이라며 “이제 생리대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연방정부가 29개주에 동일하게 도입한 재화 및 서비스세(GST) 일부가 1년 만에 번복된 것이다. 당시 피임약 등 몇 가지 품목은 면세 혜택을 받았지만, 개당 5~12루피(82~197원)인 생리대는 사치품 범주에 들어가 12% 세금이 붙었다. 생리대에 붙은 세금은 ‘라후카라간’(혈세)이라고 불리면서 시민들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온라인상에서도 이 단어를 해시태그로 붙인 세금 철폐 운동이 벌어졌다.

시민들은 여성 5명 중 4명이 생리대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인도에서, 높은 비율의 세금이 여성용품에 대한 접근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수시미타 데브 의원을 주축으로 시민 40만명 이상이 지난 1년간 세금 철폐를 위한 서명 운동에 나섰다.

생리 건강인식 자선단체 사치 사헬리의 수르비 싱은 “여성들이 학교와 직장에 머물게 하고 적절한 위생 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이고 기다려왔던 조치”라며 “여성들이 성장하고 진정한 잠재력을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비비시>는 “생리는 인도에서 여성들이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짚었다. 가난한 시골 지역의 여성들은 생리대를 구하지 못해 생리 기간 중 집에 머물러 있으며, 천이나 넝마 같은 깨끗하지 않은 대용품을 사용해 감염 위험에도 노출돼 있다고 한다. <시엔엔>(CNN) 방송을 보면 15~24세 인도 여성의 40% 이상은 생리대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번 결정으로 인도는 아일랜드, 케냐, 캐나다 등과 함께 생리대가 면세 혜택을 받는 몇 안 되는 국가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