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0.16 15:47 수정 : 2018.10.16 21:08

터키 경찰이 16일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쇼기가 살해된 장소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 대한 수사를 끝낸 뒤 건물에서 빠져 나오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애초 카쇼기의 죽음 자체를 부인했지만, 현재 이번 사건을 최소화하기 위한 타협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탄불/ EPA 연합뉴스

“사우디 관여 인정하며 ‘우발적 사고’ 타협안 고민 중”
<뉴욕타임스>, <시엔엔> 복수의 미국 언론 일제 보도
트럼프 대통령도 “불량배 살인자의 소행”이라 두둔
사우디 협력 필요한 ‘이란 봉쇄’ 정책 차질 우려한 듯

터키 경찰이 16일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쇼기가 살해된 장소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 대한 수사를 끝낸 뒤 건물에서 빠져 나오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애초 카쇼기의 죽음 자체를 부인했지만, 현재 이번 사건을 최소화하기 위한 타협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탄불/ EPA 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가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쇼기의 잔혹한 살해 의혹과 관련해 무함마드 빈살만(33) 왕세자에게 직접 불똥이 튀는 것을 차단하는 선에서 자국의 관여를 인정하는 ‘타협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카쇼기의 죽음이 빈살만 왕세자의 지시에 의한 ‘계획된 살인’이 아닌 ‘우발적 사고’라고 설명해 사건의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미국 언론들은 15일 사우디 정부가 카쇼기의 죽음 자체를 부정했던 기존 입장을 뒤집고,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서 카쇼기가 살해됐음을 인정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엔엔>(CNN)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사우디가 “카쇼기의 죽음이 그를 터키에서 (사우디로) 유괴하려는 의도 아래 실행된 신문에 의한 결과임을 인정하는 보고서를 준비 중”이라 보도했고, <월스트리트 저널>도 비슷한 내용을 언급하며 “성명이 발표될지 유동적이고, 내용도 완성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미국 언론들은 이 ‘보고서’에 “작전이 (윗선의) 승인 없이 투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됐고, 연루된 이들이 책임을 질 것이란 내용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사우디 외교부는 14일까지만 해도 사우디가 카쇼기를 살해했다는 주장에 대해 “잘못된 비난”이라며 석유의 무기화를 내비치는 등 ‘결사 항전’을 선언했었다.

<뉴욕 타임스> 역시 터키 정부의 고위 관료를 포함한 ‘노련한 관찰자’ 등을 인용해 “사우디 정부가 빈살만 왕세자를 여러 비난에서 보호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준비 중”이라며, 구체적 내용은 “왕세자가 카쇼기에 대한 신문이나 사우디 송환은 승인했지만 살해엔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라 소개했다. 그러나 이런 설명이 ‘의도된 살인’이란 터키 정부의 주장과 상충된다고 짚었다. 최악의 위기에 몰린 빈살만 왕세자를 구하기 위한 ‘꼬리 자르기’란 지적이다.

사우디에 대한 “가혹한 처벌”을 언급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 수위도 한풀 꺾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살만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 국왕과 20여분간 통화한 사실을 밝히며 “나에겐 (사우디 정부의 계획 살인이 아닌) ‘불량배 살인자’(rouge killer)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며 사우디를 두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을 사우디로 파견했다며 “어떤 사실이 일어났는지 철저히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터키 당국은 14일 사우디와 함께 ‘합동수사반’ 설치에 합의한 데 이어, 15일 사우디의 협조 아래 카쇼기가 살해된 장소로 지목된 이스탄불의 영사관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를 바라보는 시선은 싸늘한 편이다.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걸프 문제 연구소’의 알리 아흐메드 소장은 <월스트리트 저널>에 “(터키와 사우디 사이에) 중간 단계의 합의가 이뤄진 것 같다”며 “사우디가 허가 받지 않은 행동을 했다는 이유로 (사건에 관여한) 정보 요원을 비난한 뒤, 이들을 자국 사법 절차에 따라 처벌하겠다고 약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 언론들도 트럼프 대통령이 애매모호한 입장으로 돌아선 이유에 대해, 사건 배후에 빈살만 왕세자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사우디의 적극적 협력 아래 ‘이란 봉쇄’를 시행하려는 중동 정책을 뿌리부터 뒤흔들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