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9.14 09:23 수정 : 2019.09.14 09:24

센서기업 ‘유로트로닉’이 베를린 국제가전전시회(IFA)에서 선보인 스마트홈 기기들.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원격으로 창문을 여닫거나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다.

IFA 통해 본 스마트홈 IoT 이모저모
스마트 플러그·센서·중계기 쓰면
저렴한 값에도 나만의 스마트홈 가능
가전 신호 체계 미리 파악해 두세요

센서기업 ‘유로트로닉’이 베를린 국제가전전시회(IFA)에서 선보인 스마트홈 기기들.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원격으로 창문을 여닫거나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다.
값비싼 아파트나 가전을 사지 않고도 스마트홈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적게는 3만원, 많게는 30만원 가량 들여 사물에 `감각(센서)'을 입히면 된다. 편의·보안·날씨·환경 관리 등 다루는 분야도 다양하다. 지난 6일부터 11일까지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에서 소개된 20여개 스마트기기를 보면 나만의 스마트홈을 꾸미는 데 필요한 팁을 얻을 수 있다.

가장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품목은 스마트 플러그와 와이파이 인식 유에스비(USB)다. 자신이 원하는 가전제품에 스마트 플러그를 연결하면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한 ‘사물인터넷(IoT)’이 된다. 와이파이 인식 유에스비도 TV나 커피포트 등 가전에 꽂기만 하면 스마트폰으로 인식할 수 있어 유용하다. 한국에선 삼성전자 ‘동글이’와 디엔에프의 스마트 플러그를 많이 사용한다. 이파에서도 기가세트·카미·투야 등 다양한 센서기업들이 스마트 플러그와 스위치를 내 놨다.

자신에게 필요한 센서만 따로 구입해 집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스마트보안업체 ‘누키’의 스마트 열쇠는 출입문 열쇠구멍에 스마트 모터를 달아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으로 문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만들었다. 언제 문이 열리고 닫혔는지도 기록에 남아 침입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에오텍(Aeotec)’도 화재경보센서·연기감지센서· 창문개폐센서 등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할 센서를 내 놨다. 센서기업 ‘카미’는 보급형 시시티브이(CCTV)를 스마트폰 카메라와 연동해 집안 사각지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했다. 환경 관련 센서 기업 티에프에이(TFA)는 어항 물 오염도와 바깥 날씨, 풍향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따로따로 내 놨다.

센서기업 ‘카미’가 내 놓은 스마트폰 연계형 시시티브이.
이것저것 다 귀찮다면 집안 가전들을 하나로 연결해 스마트폰과 연결하는 중계기(라우터)만 살 수도 있다. 국내에선 적외선 신호를 한꺼번에 인식해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보내주는 샤오미 ‘만능 리모컨’이 인기를 얻었다. 스마트 스위치 제조업체 ‘유로트로닉’도 에어컨·환풍기·청소기 등 집안 가전들과 리모컨 사이의 신호를 중계해 주는 스위치를 내 놨다.

다만 중계기를 살 땐 자신이 쓰는 가전의 주된 신호 체계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예컨대 가정용 에어컨이 적외선 신호를 쓰는데 직비(Zigbee) 중계기를 사면 서로 연결이 안 된다. 필립스 등 유럽 제품은 한국이 잘 쓰지 않는 제트(Z) 웨이브를 쓰기도 한다.

이런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올라운드' 제품을 내는 곳도 있다. 이스라엘 기업 `호미'는 직비, 제트웨이브, 와이파이를 모두 지원한다. 각 신호별로 한 상자씩 나눠서 팔기 때문에 자신에게 필요한 신호 중계기만 사면 된다. 호미 관계자는 “센서기업마다, 제품마다 주로 쓰는 신호 체계가 다 다르다”며 “중계기를 살 때는 반드시 집안 가전의 주된 신호 체계를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대부분의 스마트 센서는 스마트폰과 연계할 수 있어 구글 어시스턴트와 아이폰 시리, 아마존 알렉사와 연동된다. 센서기업 자체 앱을 깔면 좀 더 섬세한 구동을 할 수 있지만 단순 음성만으로도 스마트폰을 통해 음성명령을 내릴 수 있다.

다만 범용성이 떨어지는 건 단점이다. 통상 센서 한 개가 자신과 연결된 제품 하나의 정보만을 모으기 때문에 여러 제품의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모으고 싶다면 각각 필요한 품목을 다 사야 한다. 티에프에이 관계자는 “어항 물 관리도 하고 싶고 집 밖의 바람 세기와 온·습도도 측정하고 싶다면 총 3개 센서와 이를 하나로 모을 라우터 1개를 사야 한다”며 “한 가지로 모든 걸 측정하는 ‘올인원’ 제품은 (시장에) 별로 없다”고 했다.

센서 감지를 위해 항상 전력을 써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기기가 많아질수록 전기세가 부담스러워질 수 있다. 세계 주요 센서기업들로 이루어진 초저전력(ULE)연합은 이를 감안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준을 마련, 회원사들에게 기준에 맞게 제품을 만들도록 독려하고 있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