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29 19:26 수정 : 2019.03.29 22:45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의 딸을 포함해 6명의 케이티(KT) 부정채용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 서유열 전 케이티 홈고객부문 사장이 지난 27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토요판] 친절한 기자들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의 딸을 포함해 6명의 케이티(KT) 부정채용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 서유열 전 케이티 홈고객부문 사장이 지난 27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부모님이 국회의원, 고위공직자, 노조 간부가 아니라서 다행입니다.”

최근 케이티(KT) 직원이 사석에서 한 말입니다. 농담이지만, 최근 터진 케이티 채용비리 사태에 케이티 직원들이 얼마나 마음을 다치고 있는지를 짐작하게 하는 말이어서 함께 쓴웃음을 지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통신·정보기술(IT) 업계를 담당하고 있는 김재섭입니다. 케이티는 최근 이석채 전 회장 시절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의 딸을 포함해 6명을 부정채용했다는 의혹에 이어, 황창규 현 회장이 취임 이후 로비를 목적으로 14명의 유력인사를 경영고문으로 위촉해 고액의 보수를 지급했다는 의혹까지 터지면서 바람 잘 날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케이티는 채용비리나 로비가 만연한가요?” 최근 주변 사람들에게 이런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케이티의 전·현직 고위임원, 노조 간부 등 여러 관계자에게 같은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 케이티는 공기업이었다가 2002년 민영화됐습니다. 이후 이용경(2002년 8월~2005년 8월), 남중수(2005년 8월~2008년 11월), 이석채(2009년 1월~2013년 11월), 황창규(2014년 1월~) 등 4명의 회장이 있었습니다. 이 중 이용경·남중수 전 회장은 소위 ‘케이티맨’, 즉 케이티 출신이었습니다.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케이티의 채용비리가 심각해진 것은 이명박 정부 들어 ‘낙하산’으로 케이티 최고경영자에 오른 이석채 전 회장(김영삼 정부 시절 정보통신부 장관·청와대 경제수석) 때부터 시작됐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새 정권이 들어서면 캠프와 청와대에 정권 창출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준 사람들의 ‘이력서’가 쌓입니다. 정권을 유지하고 재창출하려면 이 이력서들을 소화해야 하는데, 가장 손쉬운 방법이 공기업을 포함해 말을 잘 듣는 기업과 기관에 낙하산으로 새 최고경영자를 보낸 뒤 이 이력서를 받게 하는 겁니다.”(케이티 전 임원) 이명박 정부에서 이석채 전 회장을 앉힌 뒤 ‘이력서 해소’를 주문하다 보니 고문·자문 채용만으로는 부족해 신입사원 공채까지 손을 대게 됐다는 분석입니다. 그 전까지만 해도 30여개에 그치던 케이티 자회사나 투자회사가 이석채 전 회장 시절 50여개로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합니다.

그럼 채용비리가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로까지 번지는 이유는 뭘까요. 한 노조 간부의 말입니다. “박근혜 정권이 들어선 뒤, 그쪽 캠프와 청와대에도 이력서가 쌓였을 거 아닙니까. 삼성전자 출신인 황 회장도 이 전 회장과 마찬가지로 ‘낙하산 논란’을 빚으며 취임했습니다. 취임 뒤 가장 먼저 한 일이 무엇입니까. 이석채 회장 시절 채용된 고문·자문·임원들을 말끔히 정리하고, 경영위기를 이유로 직원 8300명을 내보냈습니다. 새 물을 받기 위해 연못을 비운 것 아닐까요?”

이게 다가 아닙니다. 케이티 최고경영자를 지낸 분들의 말을 들어보면, 그 자리는 가기도 어렵지만, 일단 앉으면 스스로는 절대 내려올 수 없다고 합니다. 화려한 의전과 급여 때문입니다. “케이티 회장이 서울역에 뜨면 삼남지방의 조직이 회장 영접 준비에 나섭니다. 4대 재벌 회장 의전과 비교해도 결코 빠지지 않을 겁니다.” 급여도 만만치 않습니다. 황 회장의 경우, 2014년 취임 뒤 지난해까지 5년 동안 총 117억원(주식 지급 포함·퇴직금 제외)의 급여를 받았습니다.

케이티에서는 최고경영자가 교체될 때마다 사내의 ‘실세’도 바뀝니다. 이렇게 실세가 된 경영진과 고위임원들은 회장이 교체되지 않게 하기 위해 로비 등 수단과 방법을 안 가립니다. 또 어차피 만연한 채용비리에 자신이나 지인의 자식을 끼워넣을 욕심이 생기지 않을까요. 실제로 황 회장 측근 고위임원 자녀들의 채용비리 얘기도 심심찮게 들립니다.

케이티는 그동안 모범적인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경영진과 이사회가 분리돼 있다는 게 핵심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터져나오는 의혹들을 보면 ‘무늬만 모범’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정권의 ‘이력서 소화’ 요구를 온몸으로 막아낼 수 있는 사람이 최고경영자로 선임돼야 합니다. 연임이나 입각·출마 욕심이 없는 사람이어야 가능해요.” “노조가 민주노조로 변신해, 경영진은 물론이고 이사회가 경영진을 제대로 견제하는지를 감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관계자들이 제시하는 해결방법입니다.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케이티는 언제쯤 흑역사의 사슬을 끊어낼 수 있을까요.

김재섭 산업팀 기자 jski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토요판] 리뷰&프리뷰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