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06 15:16 수정 : 2019.03.07 10:18

퍼스트·라스트 1마일 이동서비스
카카오·쏘카 등 모빌리티업체 진출
별도 대여·반납장소 없이 대여
시속 25㎞ 정도로 이용하기 편리
관리·안전문제는 풀어야 할 숙제

걷기엔 좀 먼데, 걸어갈까 아니면 버스나 택시를 탈까. 출근길, 지하철역까지 빨리 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런 고민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 ‘공유’ 전기자전거·전동킥보드다. 이른바 ‘퍼스트-라스트 원 마일’(전체 여정 중 시작 직후와 도착 직전의 짧은 거리) 이동을 위한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로 국외에선 이미 대중화한 곳이 많다. 한국도 일부 지역에서 스타트업들이 서비스를 해왔는데 카카오모빌리티·쏘카 같은 모빌리티 기업이 뛰어들면서 시장 규모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인천 연수구, 경기 성남시와 손잡고 ‘카카오T 바이크’ 시범서비스를 6일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연수구에는 400대, 성남시에는 600대가 배치되며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통해 정식출시되는 하반기에는 3천대 이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카카오T 바이크는 페달을 밟으면 모터가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자전거다. 카카오T 앱에서 전기자전거 위치를 확인해 자전거에 부착된 큐아르(QR)코드나 일련번호로 인증한 뒤 목적지까지 타고 가서 세워두면 된다. 이용 시간 제한은 없고 최초 15분에 1천원, 5분당 500원이 추가된다. 보증금 1만원을 먼저 결제해야 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환급받을 수 있다.

렌터카 기반 차량공유사업을 하는 쏘카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전기자전거 공유서비스 ‘일레클’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나인투원’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차량공유에서 전기자전거 공유까지 모빌리티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다.

일레클은 지난해 11월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시범서비스를 개시했고, 이달 서울 전 지역에서 350대 규모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보증금은 500원이고, 이용료는 첫 5분에 500원으로 시작해 1분당 100원씩 늘어난다. 카카오모빌리티와 마찬가지로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올해 안에 전국 2천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는 단거리 이동 수요에 부합하고, 불필요한 차량 운행에 따른 환경오염을 막는다는 점에서 주목받아왔다. 집에서 지하철역까지(퍼스트 원 마일) 또는 버스정류장에서 회사까지(라스트 원 마일)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에 서울처럼 비교적 대중교통이 잘 갖춰진 도시에서 대중교통 보조수단으로 효과가 크다. 다만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끊김없이 연결하는 ‘플랫폼’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카오모빌리티나 쏘카와 같은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들이 이 시장에 뛰어드는 것이다. 이 플랫폼에는 상품배송, 음식물 배달 등 물류 영역까지 얹힐 수 있다.

이미 국외에선 모빌리티 산업이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까지 확대되고 있다. 우버는 지난해 전기자전거 공유업체인 ‘점프바이크’를 인수했고, 리프트도 ‘모티베이트’를 인수했다. 완성차 제조업체인 포드도 ‘고바이크’라는 전기자전거 공유 플랫폼을 2017년 내놓은 데 이어, 지난해엔 전기스쿠터 대여업체 ‘스핀’을 인수하기도 했다.

한국시장에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가 제대로 정착하려면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 자전거 주차·관리나 안전 문제 등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2016년 중국에서 공유자전거 서비스를 처음 시작했던 ‘오포’는 아무데나 주차가 가능한 ‘도크리스’ 서비스를 도입해 기업가치 10억달러에 미국 등 다른지역으로 진출을 하며 주목받았다. 그러나 물량공세 탓에 길거리에 자전거가 방치되면서 ‘자전거 무덤’이라는 비난을 받고 오포는 경영난에 빠졌다. 카카오모빌리티나 일레클 역시 주차장이 없는 전기자전거 대여 서비스다. 시장이 활성화될 경우 자전거 관리는 상당한 난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두 회사는 전기자전거에 탑재된 지피에스(GPS)로 위치를 파악해 관리하고 최적 지역에 배치할 예정이다.

안전문제 역시 중대한 숙제다. 전기자전거는 차도와 자전거 전용도로를 모두 운행할 수 있다. 최대 시속 25㎞는 서행하는 차량과 비슷한 속도여서, 사고 발생시 피해는 경미한 수준을 넘어설 수밖에 없다. 국외에선 이미 사망사고 발생이 사회 문제로 비화하기도 했다.

<이동의 미래> 저자로 모빌리티 전문가인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혁신전략연구소 정책위원은 “주차장이 없고 전동이라는 편리함 때문에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지만 도로 점용 문제나 이용자 안전문제와 관련한 과제가 많다”며 “업계와 정부·지자체가 함께 모여 서비스 운영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