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게이트 런던(왼쪽)과 아이온의 캐릭터.
|
스타크래프트와 손잡은 헬게이트 런던
박진감 넘치는 아이온·현대물 프로젝트SPI
100억짜리 게임대작들 재도전 시동
아르피지 시장 지금 부글부글
리니지. 동시 접속자 수 평균 12만명, 지난 2분기 매출액 285억원. 1년에도 강산이 수십번 변한다는 게임시장에서 무려 8년 동안 리니지의 시대가 계속되고 있다. 한빛소프트의 그라나도 에스파다, 웹젠의 썬, 넥슨의 제라 등은 올해 초 리니지에 도전장을 던졌다. 이 게임들은 선보이자마자 ‘그래픽이 뛰어나다’(썬), ‘게임방식이 기발하다’(그라나도 에스파다)는 전문가들의 평가를 받으며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정작 일반 게이머들은 리니지와 비슷한 게임방식을 가진 게임에는 ‘표절이다’, ‘지루하다’는 혹평을 가했고, 리니지와 다른 방식을 도입한 게임은 ‘낯설다’, ‘불편하다’는 불만을 털어놓기 시작했다. 여기에 지난여름 바다이야기 파문이 게임업계 전반에 침체를 불러와 회원 수가 줄어들면서 어려움은 더해졌다. 현재 이 게임들은 동시 접속자 수 공개를 꺼리면서 부분 유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게임업체들은 투자비 회수를 걱정할 상황에 놓였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게임업체들의 도전은 멈추지 않고 있다. 사운을 걸고 제2회 국제 게임전시회 지스타 2006에서 선보일 100억짜리 대작게임들의 재도전에 벌써부터 게임시장은 들썩이고 있다.
한빛소프트의 ‘헬게이트 런던’ 한글버전은 리니지를 넘어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 절치부심한 작품이다.
올해 초 선보인 ‘그라나다 에스파다’가 리니지의 벽을 넘지 못하자, 한빛소프트는 ‘스타 크래프트’의 개발자인 빌 로퍼와 손잡고 만든 작품으로 승부를 걸어보겠다고 재도전에 나선 것이다. 한빛소프트 관계자는 “리니지가 아이템이 한정되어 있고, 활동구역이 미리 정해져 있다면 우리는 무한대의 아이템과 랜덤 방식을 도입했다”며 “아르피지(RPG·롤플레잉 게임)를 1인칭 시점으로 즐길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리니지 엘프.
|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