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9.09 05:00 수정 : 2019.09.09 05:00

지난 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상암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엠시 맥주 페스티벌’에서 복고풍 <전원일기> 세트장 사이에서 시민들이 맥주를 마시고 있다. 문화방송 제공

유튜브 채널 재방송 90년대 드라마
누리꾼들 세대 막론해 인기 폭발

드라마 ‘응답하라…’ 영화 ‘건축학개론’
사랑받으며 촉발…축제로까지 확산

지난 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상암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엠시 맥주 페스티벌’에서 복고풍 <전원일기> 세트장 사이에서 시민들이 맥주를 마시고 있다. 문화방송 제공
봉춘 떡방앗간, 최불암 이발소, 문화 수퍼…. 서울 마포구 상암동의 첨단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사이에 1970년대풍의 가게들이 들어섰다. 그 앞에 펼쳐진 평상에선 2019년 옷차림의 시민들이 둘러앉아 수제 맥주를 마시고 있다. <문화방송>(MBC)이 지난 4~6일 상암문화광장에서 연 ‘디엠시 맥주 페스티벌’ 현장이다. 6일 이곳을 찾은 박철희(46)씨는 “고교 동창들과 오랜만에 만나 맥주 한잔 마시는데, 복고풍 분위기까지 더해지니 왠지 마음이 더 푸근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축제를 기획한 <문화방송>의 한임경 미디어사업부장은 “올해 트렌드가 ‘뉴트로’라고 해서 축제장을 드라마 <전원일기> 세트장처럼 꾸며봤다. 사람들의 반응이 좋다”고 전했다.

복고 콘셉트의 축제까지 생겨날 정도로 레트로 열풍이 거세다. 유튜브로 과거 음악방송을 다시 즐기는 ‘온라인 탑골공원’이 유행하고, 199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들도 끊임없이 나온다.

<에스비에스>(SBS) 공식 유튜브 채널 ‘에스비에스 케이팝 클래식’은 지난달 6일 1999년 <에스비에스 인기가요> 방송분을 라이브로 방송하기 시작했다. 에이치오티, 핑클, 지오디 등 1세대 아이돌 가수들과 사회자로 나오는 전지현, 김민희, 김소연 등 배우들의 풋풋한 모습은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누리꾼들은 실시간 채팅을 하며 추억을 나누고, 젊은 층은 신기해하는 반응을 보인다. 누리꾼들 사이에서 ‘온라인 탑골공원’ ‘탑골가요’ 등으로 불리는 이 채널은 8일 현재 구독자가 15만8천명이나 된다.

유튜브로 옛 방송 프로그램을 보는 이들도 많다. <한국방송>(KBS) <문화방송> <에스비에스> 등 지상파 3사는 유튜브 복고 채널을 만들어 예전 방송을 올리고 있다. <가요톱텐> <토요대행진> 등 음악방송, <유머 1번지> 등 개그프로그램, <순풍산부인과>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거침없이 하이킥> 등 시트콤이 인기다. 과거 이 프로그램을 즐겨 보던 이들뿐 아니라 10~20대 젊은 세대도 열광하며 본다.

90년대 음악이 다시 뜨면서 방송사 유튜브 채널은 90년대 드라마뿐 아니라 당시 가요 프로그램도 재방송해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유튜브 갈무리
최근 개봉한 영화에서도 9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 눈에 띈다. 지난달 28일 개봉해 11일 만에 100만 관객을 돌파한 정해인·김고은 주연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은 90년대 감성을 듬뿍 담았다. 라디오, 삐삐, 피시통신 등 당시를 상징하는 소품을 등장시키고 유열의 ‘처음 사랑’, 모자이크의 ‘자유시대’, 핑클의 ‘영원한 사랑’ 등 90년대 가요를 대거 삽입했다. 세계 유수 영화제 25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평단의 호평을 받고 있는 <벌새>도 1994년을 배경으로 한다. 그 시절의 암울한 시대상을 담으면서 마로니에의 ‘칵테일 사랑’, 원준희의 ‘사랑은 유리 같은 것’ 등 추억의 노래도 빼놓지 않는다.

이런 레트로 열풍의 도화선은 2012년 방송된 드라마 <응답하라 1997>과 같은 해 개봉한 영화 <건축학개론>이다. 90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그 시절 가요를 삽입하면서 새로운 유행을 만들어냈다. 예전 음악을 틀어주는 ‘밤과 음악 사이’ 같은 복고풍 술집에 중장년층은 물론 대학생들까지 몰렸다. 이런 분위기는 과거의 음악·영상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유튜브라는 플랫폼을 타고 최근 들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