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1.04 18:13 수정 : 2019.11.05 02:35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연출한 김도영 감독.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82년생 김지영>김도영 감독 인터뷰
“영화에 달리는 악플·평점 테러
그 자체도 우리 사회 풍경…

‘70년생 김도영’ 삶도 녹아든 작품
대중과의 소통 많이 고민했는데
관객들이 알아봐 주셔서 기뻐”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연출한 김도영 감독.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스크린 너머로 따스한 공감과 위로를 전하며 개봉 11일째인 지난 2일 관객 200만을 돌파했다. 꾸준한 입소문을 타고 장기 흥행에 성공한 <알라딘>(최종 1255만1456명)과 같은 속도다.

이 작품을 연출한 김도영 감독은 4일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영화를 만들 때 장면마다 대중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고민을 많이 했는데, 그걸 관객들이 알아봐주신 것 같아 기분이 좋다. 어머니 관객이 많다는 소식이 특히 반갑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는 최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도 “첫 장편영화인 만큼 좀 더 날카롭고 관객의 폐부를 찌르는 작품을 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토론과 합의를 거쳐 상업영화로서 최소한의 품위는 유지하면서도 몸을 낮춰 많은 사람과 만나면 좋겠다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했다. 그 바람대로 영화는 ‘평점 테러’와 ‘악플 세례’를 뛰어넘어 많은 이의 공감을 얻고 있다.

영화가 사람들의 마음을 얻은 데는 ‘70년생 김도영’의 삶이 녹아든 덕도 크다. “제가 세 자매의 맏딸인데, 할머니 손에 컸어요. 할머니는 우리를 사랑해주신 좋은 분이셨지만, 어머니가 아들 못 낳았다고 구박을 하셨죠. 막내가 저와 11살이나 차이 나는 것도 아들 낳으려다 그렇게 된 거예요. 영화 속 지영이 할머니를 그릴 때 우리 할머니를 생각했어요.”

영화 <82년생 김지영> 촬영 현장에서 배우 정유미에게 연기 지도를 하는 김도영 감독(오른쪽).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감독을 꿈꾸며 진학한 한양대 연극영화과에서 그는 연기의 매력에 빠졌다. 졸업하고도 계속 연극 무대에 섰다. 동료 배우와 결혼하고 아이를 갖게 되면서 배우 일을 쉬었다. 둘째 아이까지 낳고 나니 연기는 먼 나라 일이었다. 2017년 늦깎이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대학원) 과정에 들어가 영화 연출을 공부했다. 그때 만든 단편영화가 자전적 얘기를 담은 <자유연기>다. “아이를 낳으면서 경력 단절된 여배우가 어렵게 오디션에 가요. 중요한 배역인 줄 알고 준비 단단히 하고 갔더니 겨우 대사 두줄짜리인 거예요. 실망하고 나오려다 갑자기 독백을 시작해요. 그러면서 막 울어요. 제 경험과 고민을 녹여낸 얘기였죠.” 이는 지난해 미쟝센 단편영화제 비정성시(사회드라마) 부문 최우수작품상을 받았다. “당시 관객상도 받았는데 그게 더 기뻤어요. 영화 상영 뒤 화장실에서 울고 있는 여성 관객을 만났을 때, 그들에게 뭔가 다가갔구나 느꼈죠.”

그는 <자유연기>를 만들 때 지인이 영화에 도움이 될 거라며 추천해준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읽었다. “책을 보면서 떨어져서 이야기를 바라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그게 <자유연기>에도 영향을 끼쳤던 것 같아요.” 뭔가가 통했는지 <자유연기>를 본 영화사 쪽에서 연락이 왔다. <82년생 김지영> 연출을 제안한 것이다. 이를 수락하고 각색 작업부터 시작했다. “제가 두 아이를 키우면서 겪은 경험도 자연스럽게 들어갔어요. 수족구에 걸린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낼 수 없게 되자 직장에 데려간 에피소드, 연기를 전공한 엄마가 아이에게 책을 읽어줄 때만 능력을 발휘한다는 에피소드는 원작에 없는 걸 제가 넣은 거예요.”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연출한 김도영 감독.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그렇게 완성한 영화가 평점 테러와 악플에 시달리는 걸 보고 그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책 한권, 영화 한편을 두고 이렇게 된다는 것 자체도 우리 사회의 풍경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서로 화내고 욱하는 데서 더 나아가 뭐가 문제인지 들여다보면 좋겠다, 이 영화가 저쪽 세계를 볼 수 있는 작은 창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요. 누구는 보지도 않고 휙 지나가고, 누구는 멈춰 서서 가만히 들여다보겠죠. 다행히도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찬찬히 들여다보는 것 같아서 좋아요.”

그는 조남주 작가의 팟캐스트에서 들은 얘기를 소개했다. “오이가 아무리 싱싱해도 식초에 담기면 피클이 되죠. 우리가 어떤 문화·관습·시선 안에 있는지를 봐야 해요. 영화 속 인물들도 모나고 악의가 있어서 그러는 게 아니에요. 식초에 절었을 뿐이에요. 책 한권, 영화 한편이 세상을 바꾸진 못해도 식초를 묽게 만드는 물 한 방울이라도 됐으면 해요. 언젠가 <82년생 김지영>이 사람들이 1도 공감하지 못하는, 전래동화 같은 얘기가 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