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6.18 09:06
수정 : 2019.06.18 15:24
|
라디오 방송국 피디인 태규(최민수)와 성우인 지혜(심혜진)는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혼한다.
|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17)결혼 이야기
감독 김의석(1992년)
|
라디오 방송국 피디인 태규(최민수)와 성우인 지혜(심혜진)는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혼한다.
|
<결혼 이야기>는 두 가지 방향에서 바라볼 수 있는 영화다. 먼저 ‘기획영화의 효시’다. 1980년대까지 충무로나 지방 토착 자본으로 제작되던 한국영화는 1990년대 새로운 돈줄을 만난다. 대기업이 진출한 것이다. 자본의 성격이 바뀌면서 영화도 바뀌었고, 관성이 아닌 기획에 의해 영화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결혼 이야기>는 그 시작이었다. 대중의 트렌드에 대한 리서치 결과 ‘로맨틱 코미디’라는 장르가 결정되었고, 상큼한 마케팅과 전자제품 피피엘(PPL: 콘텐츠 내 상품 간접광고)이 결합했다. 주연은 심혜진과 최민수. 당대 가장 ‘핫’하면서도 ‘뉴’한 이미지를 지닌 배우들이었다.
|
라디오 방송국 피디 태규(최민수)와 성우인 지혜(심혜진)는 같은 일터에서 일하며 사랑에 빠진다.
|
그러나 ‘내용’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결혼 이야기>는 표면과는 다른, 꽤 묵직한 테마를 다루고 있다. 영화는 당시 <그것이 알고 싶다>의 진행자였던 문성근의 내레이션으로 시작한다. “누구나 살다 보면 결혼이란 뜨거운 감자를 삼키느냐 마느냐 결정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결혼 이야기>는 과감히 그 결정을 한 남녀들에 대한, 1990년대 현재 대한민국 부부 관계를 다룬 임상실험 보고서 같은 영화다.
|
생각과 마음이 너무나도 잘 통한다고 믿었지만, 막상 결혼생활을 시작하자 지혜(심혜진)와 태규(최민수)는 사사건건 대립한다.
|
전체적으론 코믹 톤이지만, 이따금씩 툭툭 던져지는 대사들은 관객을 비수처럼 찌르며 우리의 결혼제도가 얼마나 남성 중심적인지 폭로한다. 전업주부는 가구 같은 존재라는 어느 선배는 지혜(심혜진)에게 충고한다. “너도 빨래판 꼴 된다. 평생 대주기만 하는 빨래판.” 여자의 결혼생활에 대한 이토록 암울한 묘사가 있었던가? <결혼 이야기>는 결혼이 서로 밀고 당기는 핑퐁이 아니라, 억압적인 가부장 체제에 여성이 걸어 들어가는 불평등한 계약임을 명시한다.
좋은 배우자란 없으며 서로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으로 마무리되긴 하지만, <결혼 이야기>는 이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처녀들의 저녁식사> <결혼은, 미친 짓이다> <아내가 결혼했다> 등의 영화가 등장할 수 있는 서사적 전통을 마련했다. 달콤한 장르 영화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 메시지를 품은 ‘당의정’. 이 전략은 기획영화 시대에 리얼리즘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술이기도 했다.
김형석/영화평론가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