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03.09 21:45
수정 : 2015.03.10 11:13
[심층리포트]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늦지 않았다 (하)
지난해 9월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는 대회를 준비하면서 들어간 빚 때문에 후폭풍이 심각하다.
인천시는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과 20조원 경제적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장밋빛 기대 속에 아시안게임을 유치했다. 하지만 경기가 끝난 뒤 남은 것은 거대한 빚과 유지관리비로 매해 수백억원씩 투입될 텅 빈 경기장뿐이다.
인천아시안게임을 준비하는 데 경기장 16곳 신축 등 대회 관련 시설 건설에 1조5000억원이 들어갔고, 대회 운영비 등을 포함하면 무려 2조5000억원이 들어갔다.
인천시는 경기장 건설 등에 들어갈 비용을 1조720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해 충당했다. 인천시는 아시안게임 준비에 들어간 빚 때문에 부채가 3조2378억원으로 늘었고, 채무비율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가장 높은 36.1%로 높아졌다.
시는 2029년까지 14년간 아시안게임 때문에 발행한 지방채를 해마다 나눠 원금과 이자를 상환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시는 빚을 내어 빚을 갚는 악순환이 당분간 되풀이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이 때문에 당분간 신규 사업 등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사업조차 할 수 없는 처지가 됐고 보육, 청년 취업, 저소득층 지원 예산 등 시민들의 삶과 직접 맞닿아 있는 복지사업 예산마저 대폭 삭감됐다.
시는 지난해 말 올해 예산을 짜면서 출산장려금 등 사회복지 관련 306건의 예산을 전액 삭감하고, 세출예산을 축소 편성했다. 아시안게임의 무리한 유치로 인한 피해는 결국 시민들에게 돌아왔다.
아시안게임이 끝난 지 5개월여 지난 현재 신축 경기장들은 아시안게임 이후 단 한번도 이용하지 못한 채 방치돼 있다.
인천/김영환 기자
ywkim@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