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5.02 22:01 수정 : 2012.11.20 10:27

양학선이 2010년 11월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아시아경기대회 체조 남자 도마(뜀틀)에서 멋진 연기를 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별별 스타] 올림픽 금 노리는 체조 양학선

멜로물 보고 눈물짓지만
도마 위에만 서면 ‘강심장’
성공률 높이기 위해 맹훈련
“금 따면 셔플댄스 출게요”

두 눈가에 ‘그렁그렁’ 눈물이 맺힌다. 일본 애니메이션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를 볼 때마다 그렇다. 멜로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도 마찬가지. 음악도 발라드를 주로 듣는다. 이 남자, 참 감성적이다. 하지만 ‘감성청년’은 도마 위에서 최고 강심장이 된다. 세계 최초로 공중에서 세바퀴(1080도)를 돌고 멋들어지게 착지를 한다. 무서울 법도 하건만 공중에 떠 있는 순간이 참 재밌단다. 2012 런던올림픽 체조 도마 금메달 기대주 양학선(20·한국체대)의 모습이다. 솔직하고, 담백하고, 또 유쾌하다.

초등학교 2학년 때 체조를 시작한 양학선은 최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안되던 기술인데 성공시켰을 때의 성취감이 너무 좋다”고 체조의 매력을 설명했다. 여홍철 경희대 교수의 ‘여2’ 기술(도마를 두 손으로 짚은 뒤 공중에서 두바퀴 반 돌고 도마를 바라보면서 착지하는 기술, 난도 7.0점)은 중학교 3학년 때 처음 한두번 시도하고서 곧바로 성공했다. 체조 관계자들이 입을 모아 “양학선은 체조를 하기 위해 태어났다”고 말하는 이유다. 기술 습득력이 그만큼 빠르다. 국제체조연맹(FIG) 규칙집에 등재된 기술 중 가장 난도(7.4점)가 높은 ‘양학선’(Yang Hak Seon) 기술은 처음 시도 후 한달 만에 성공을 맛봤다. 그때가 2010년이었다.

‘양학선’ 기술은 여2에서 반바퀴를 더 돌아 도마를 등지고 서게 된다. 때문에 다른 기술보다 착지가 더욱 까다롭다. 공식 대회에선 2011년 7월 고양컵 국제대회 때 처음 선보였는데 오른발 한 발자국만 움직였을 뿐 보란듯이 성공했다. 경기를 지켜본 국제체조연맹 관계자들이 “브라보”를 외칠 정도였다. 양학선은 “막상 첫 실전 무대에서 성공하니까 ‘역시 시합 때는 잘 안되던 것도 되는구나’ 싶었다”며 웃었다. 2011 도쿄 세계선수권 때도 ‘양학선’ 기술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다른 사람이 못하는 것을 한다는 것 자체가 뿌듯해요.”

현재 몸무게 51㎏(키 160㎝). 한때 몸무게가 53㎏까지 나갔다가 4월 선발전을 치르면서는 49㎏까지 빠졌었다. 양학선은 “51㎏이 딱 적당한 것 같다. 몸이 가벼우면서도 도약 때 힘이 나온다”고 했다. 대회를 한달 앞두고는 몸무게 조절 때문에 하루 한 끼밖에 안 먹을 때도 있다. 식단도 주로 옥수수와 고구마로 채워질 때가 많다. 여가시간에는 주로 일본 애니메이션 혹은 만화를 보거나 음악을 듣는다. 춤 연습도 간혹 한다. 양학선은 2월 코카콜라 체육대상 때 셔플댄스를 춰 보였다. “런던올림픽 금메달을 따면 또 셔플댄스를 출지도 모르죠. 금메달인데 뭔들 못하겠어요. 하하하.”

양학선은 현재 일본 도쿄에서 전지훈련을 하고 있다. ‘양학선’ 기술 성공률을 높이는 게 목표다. 다른 선수들보다 난도가 0.4점 정도 높아도 성공도가 떨어지거나 착지가 불안하면 차이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이다. 도마에서는 착지에서 한 발자국만 움직여도 0.3점이 깎인다. 양학선은 “전에는 하루에 4번 뛰면 2번 성공했는데, 성공률이 조금씩 높아져서 지금은 2~3번 정도 성공한다. 성공률이 60%”라며 “런던올림픽까지 반드시 100%로 끌어올리겠다”고 다짐했다. 현재 하루 8차례 도마를 넘는데 4번은 ‘양학선’, 4번은 ‘스카라’(옆돌리기 식으로 도마를 짚어 공중에서 세바퀴를 도는 기술, 난도 7.0점)로 뛴다. 런던올림픽 도마 1, 2차 시기 때 두 기술을 사용할 계획이다. 5일 도쿄에서 돌아온 뒤 태릉에서 이어갈 훈련 강도는 더욱 세질 전망이다.

금메달 포상금으로 농사짓는 부모님에게 번듯한 집을 선물하고픈 ‘효자’ 양학선. 오늘도 물구나무서기로 하루를 시작하며 런던올림픽 가장 높은 곳을 꿈꾸고 있다.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별별스타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