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커버스토리/ 마흔살 ‘샘터 사옥’의 재탄생
1970년대 샘터 사옥과 마로니에공원 주위에 아파트가 세워졌다면, 지금 대학로는 어떤 모습일까? 서울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한 샘터 사옥이 디딘 땅은 옛 서울대 문리과대학 캠퍼스가 있던 자리다. 그 앞으론 북악산에서 흘러내려와 청계천으로 합류하는 흥덕동천(대학천)이 있었다. 앞서 경성제국대학 터였으며, 조선시대부터 교육과 관련이 깊은 지역이다. 2006년 서울대가 발간한 <서울대학교 60년사>를 보면, 관악캠퍼스 이전이 확정된 서울대 문리과대학(종로구 동숭동)·사범대학(동대문구 용두동) 건물과 땅의 새 주인이 된 주택공사는 1973년 이 부지에 아파트를 짓겠다고 발표한다. 문리과대학 자리에 세워질 아파트는 40·60·80평 크기의 고급 아파트였다. 대학 건물은 원형 그대로 보존하되 대학본부(1931년 준공. 현 예술가의 집)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로, 중앙도서관은 슈퍼마켓으로 전환될 예정이었다. 샘터사 창업자 김재순 전 국회의장이나 건축가 김수근을 포함해 이러한 계획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결국 1975년 건설부는 아파트 건립 계획을 철회했고, 주택공사는 문리과대학·사범대학 부지를 주택지로 일반에 매각하기로 한다. 이후 한국문화예술진흥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 대학본부 및 주변 부지 600평을 매입했고, 김재순 전 국회의장도 200여평을 사 건축가 김수근에게 건물 설계를 맡긴다. 1979년 샘터 사옥과 아르코미술관(옛 미술회관), 1981년 아르코예술극장(옛 문예회관)이 차례로 들어서면서 동숭동은 문화예술 거리로 변화해 나간다.
|
1979년 샘터 사옥 신축 당시. 샘터사·공공그라운드 제공
|
|
1985년 3월 촬영. 샘터사·공공그라운드 제공
|
|
1998년 1월 촬영. 샘터사·공공그라운드 제공
|
|
2005년 1월 촬영. 샘터사·공공그라운드 제공
|
|
2015년 8월 촬영. 샘터사·공공그라운드 제공
|
광고
![관련정보](http://img.hani.co.kr/section-image/12/news/hani/images/com/tit/relation_info_title.gif)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