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8.02 20:02 수정 : 2013.08.02 21:33

정희진 여성학 강사

[토요판] 리뷰&프리뷰 정희진의 어떤 메모

<살아남은 자의 아픔>
프리모 레비 지음, 이산하 편역 노마드북스, 2011

프리모 레비. 한참 동안 커서만 깜박이고 있다. 나는 기운이 없어서 그냥 잤다. 삶과 언어가 마주할 때 부등호는 언제나 삶을 향한다. 언어의 한계. 나의 한계. 하고 싶은 말은 참았던 숨처럼 가쁜데, 생각이 짧으니 검열과 긴장이 보초를 선다. 그 유명한 ‘생각하지 않는 죄’에다 내 생각이 얇은 죄까지 겹쳐 다른 책을 쳐다본다. 하지만 그와 닿고 싶은 욕망이 주제 파악을 이기고 만다. “어떻게 작품과 자기 자신을 분리시킬 것인가?/ 작품이 끝날 때마다 나는 한 번씩 죽는다”(102쪽) 이런 사람은 홀로코스트가 아니었어도 매일 다시 태어났을 것이다.

그는 평균 생존 기간 3개월인 오시비엥침에서 1년 10개월을 버티고 살아남았다. 유대인 죽이기는 ‘더러운 일이어서’ 나치는 자기 땅에서 자기 손으로 하지 않았다. 폴란드에서 동유럽 소수민족에게 시켰다. 아우슈비츠는 오시비엥침의 독일어 이름이다. 프리모 레비는 화학 박사였지만 인종차별법에 의해 일자리가 없었다. 이후 빨치산 활동을 하다가 체포돼 강제수용소로 끌려갔다. 생환 후 수많은 시와 소설, 회고록을 남겨 살아남은 자로서 ‘임무’를 다했다.

나치즘은 우리에게 <이것이 인간인가>(레비의 책 제목)를 질문하지만(88쪽, 122쪽을 보라), 희망을 앞세운 이들도 마찬가지다. 기억이 고문이었을 그의 인생은 그런 경험을 한 인간이 망가지지 않고 어디까지 위대해질 수 있는지, ‘인간 승리’를 증거(해야)하는 삶이었다.

“내가 놓친 수레바퀴가 절벽 끝으로/ 천천히 굴러가고 있다…/ 그리고 과연 언제까지/ 이 육신을 나에게 복종시켜야 할까?”(93쪽) 만일, 만일, 만일에 그는 일찍 쉬고(죽고) 싶었으나 어떤 시선과 의무감 때문에 68세까지 ‘살아야’ 했다면, 나는 그를 찬양하는 이들을 나치만큼 증오할 것이다.

그는 투신자살했다. 지금 우리 사회 ‘보통 사람’의 자살과 비교할 수는 없다. 하지만 타인의 고통을 헤아리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다. “난 무려 100년 참고 참는다…/ 난 내일 죽음과의 약속을 지킬 거다!/ 하지만 너네 인간들은 백번 죽었다 깨어나도/ 내 말을 이해할 수 없을 거다”(<용설란>, 63쪽) 뇌는 신체다. 정신적 고통은 육체의 병이다. 자살은 뇌 기능의 오작동으로 인한 인지 오류, 불행한 미래를 확신하는 비합리적 신념 때문이다.

기차와 시계는 초기 자본주의의 엔진이었다. 대량 생산, 운송 수단, 정확한 시간표는 필수적이다. 끝없는 기찻길은 미래의 표상. 혁명은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바람직한 미래를 앞당길 수 있다고 생각한 기차였다. 하지만 혁명은 역사상 유례없는 대량 살상을 가능케 하는 폭주 기관차였다. 근대는, 지향은 달랐지만 소련에서 2000만명, 중국 문화대혁명에서 2000만명, 유대인 학살 600만명의 사망자를 생산한 죽음의 시간성이었다.

망각을 거부한 투사가 치러야 하는 대가는 남은 인생이 과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확신이다. 불확실한 삶이라면 가능성을 희망이라 믿고 살겠지만 확실한 상태에서 선택은 많지 않다.

확실성의 볼모가 된다는 것. <기차는 슬프다>가 그것이다. “단 하나의 목소리와 단 하나의 노선으로/ 정해진 시간에 떠나야 하는 기차보다/ 더 슬픈 게 있을까?/ 그 어떤 것들도 이보다는 더 슬프지 않다.”(25쪽) 이 구절을 읽을 때 시간이 멈췄다. 행복할 때, 정지했으면 하는 그 시간이 실현되었다. 우리는 기차역에 함께 앉아 있었다.

목적이 분명한 기차가 정시에 출발한다는 확실성. 기차역(삶)에 끌려온 사람들은 살아있는 죽음을 산다. 죽음을 기다리는 동안 시를 쓰는 사람도 있지만 누구나 그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그를 이해하는 만큼 기차가 오기 전에 죽는 이들에게도 그런 마음을 가지면 안 될까. “모든 사람은 서로가 서로에 대한 기억의 조각품들이다.”(113쪽) 이 사랑스런 목소리처럼.

이 시집은 이산하 시인의 프리모 레비다. “세상이 끝나는 방식은 쾅하는 소리가 아니라 흐느끼는 소리이다.”(47쪽, T.S. 엘리엇을 레비가 인용한 것을 이산하가 옮김) 레비의 메모들, 이산하의 각주와 해설도 시다.

정희진 여성학 강사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토요판] 리뷰&프리뷰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