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1.06 20:42 수정 : 2011.11.06 22:53

서울 구로구 서울조선족교회에서 조선족 여성이 짐이 쌓인 복도를 지나고 있다.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조선족 대이주 100년 〈1부〉뿌리] ③ 잃어버린 청춘

 △ 조현순(가명·54살)

 중국에서 초등학교 교사 생활을 했다. 새천년을 앞둔 1999년 한국에 왔다. 다른 사람 신분증에 자신의 사진을 붙여 불법 입국했다. 남편과 함께 입국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이혼했다. “남편이 다른 여자를 만났다”고 조씨는 말했다. 부부가 함께 불법 입국을 감행하고, 낯선 땅에서 다른 사람과 정분이 싹트고, 자식을 두고도 배우자와 남남이 되어버린 사연을 조씨는 간단하게 말했다.

 대신 지금 함께 살고 있는 남편 이야기를 많이 했다. 6년 전, 6살 많은 한국인 남자를 만나 재혼했다. 그 역시 교사 출신이었고, 바람을 피운 전처와 이혼해 외로운 처지였다. 새 남편에겐 30대의 아들과 딸이 있고, 조씨에게도 전 남편 사이에서 낳은 20대 딸이 있다. 중국에서 지내던 친딸은 1년 전, 한국인 남편이 입양하여 조씨와 함께 지내고 있다.

 식당에서 10년 동안 일했던 조씨는 얼마 전 작은 고깃집을 열었다. “중국 여자가 요리해서 맛이 없다”는 루머를 이웃 식당에서 퍼뜨리고 있다. “그저께는 (손님을) 한 테이블도 못 받았다”고 조씨는 걱정했다. 그러나 심각한 표정은 아니었다. 조씨는 자신의 ‘새 가족’이 흡족하다. 조선족에게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은 낯선 일이 아니다.

 

 △ 한건희(가명·52살)

 아내가 먼저 한국에 나왔다. 1991년 한국에 들어왔는데, 이후 더 큰 돈을 벌겠다며 미국으로 떠났다. “미국에 가서 돈을 많이 벌긴 한 것 같다”고 한씨는 말했다. 오랫동안 떨어져 지낸 아내의 근황을 한씨는 정확히 알지 못했다. 한씨가 분명히 아는 사실이 있다. 아내는 미국에서 도박에 빠졌다. 번 돈을 모두 날리고, 중국에 마련해둔 집까지 팔아 또 도박판에 묻었다. 이혼하고 싶었으나 아직 법적 절차를 밟지 못했다.

 "걱정이 크다”고 한씨는 말했다. 도박으로 빚을 지면, 아내의 빚이 고스란히 자신에게 넘어오지 않을까, 한씨는 걱정하고 있다. 20년 동안 헤어져 지낸 아내와는 사실상 남남이 됐다. 지난 8월 한국에 들어온 한씨는 이제 스스로 돈 벌 궁리를 하고 있다. 경기도 인근 족발 공장에서 돼지 털을 다듬었다. 작은 공장에는 한씨를 비롯해 4명이 일했다. 모두 조선족이었다. 4명은 콘테이너에서 먹고 잤다.


 적어도 하루 8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다른 조선족의 귀띔을 믿고 공장을 뛰쳐나와 공사판에 갔다. “후회하고 있다”고 한씨는 말했다. 매일 새벽 5시 인력시장에 나가도 일거리가 없었다. 하루 5천원만 내면 잠을 잘 수 있는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 조선족 쉼터에서 한씨는 하루 종일 지내고 있다. 잠을 자거나 술을 마신다.

  

 △ 김연희(가명·57살)

 김씨의 아버지는 일제 시절 만주로 건너왔다. 한반도 남쪽에 부인과 딸을 두고 혼자 돈벌러 떠나왔다. 해방과 분단을 거치며 한국에 돌아올 길이 막혔다. 아버지는 중국에서 두번째 결혼을 했고, 김씨를 낳았다. 1980년대 후반, 한국과 중국에 흩어진 이산가족 찾기 열풍이 불었다. 아버지는 한국에 두고온 아내와 딸을 찾아냈다. 한국의 이복언니가 1992년 김씨를 초청했다. 이후 불법체류자로 살았다.

 김씨는 혼자 한국에 왔다. 장차 자식들을 대학에 보내려면 돈이 필요했다. 아들과 딸의 뒷바라지를 남편에게 맡겼으나, “한국 들어온 뒤에 연락이 끊겨 지금은 소식을 모른다”고 김씨는 말했다. 남편과 생이별 하게 된 다른 사연이 있겠지만, 김씨는 거기까지만 설명했다. 한국 생활 19년 동안 중국 요녕성 심양에 있는 고향집을 가보지 못했다.

 30대 후반에 한국에 와서 어느새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가 됐지만 “돈 많이 벌어 아이들 교육시켰으니 괜찮다”고 김씨는 말했다. 그는 식당 찬모로 일하며 월 180만원을 받고 있다. 아들은 중국에서 대학에 다닌다. 딸은 한국인과 결혼했다. 경기도 어느 소도시에서 딸네 식구와 함께 9천만원짜리 전세집에 살고 있다. 그 정도 생활이면 김씨는 족하다.

 서울 조선족 교회의 도움으로 지난해 정식 비자를 새로 받은 김씨는 앞으로도 중국에 돌아갈 생각이 없다. 이제 와서 고향을 찾는다 해도 그 곳에는 가족이 없다. 가족 단위의 이주는 조선족의 생활 근거를 통째로 바꾸고 있다.

 안수찬 기자, 안세희·이상원 인턴기자 ah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한겨레 in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