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6.24 19:25 수정 : 2016.06.24 19:31

5년여 전 큰동생이 외제차를 산 게 시작이었나 보다. 갓 출시된 국산차를 적극 추천했지만, 당시 왕복 100㎞ 넘게 출퇴근을 하던 동생은 차만큼은 마음에 꼭 드는 걸 사고 싶다며 ‘강남 쏘나타’로 불리는 일제차를 선택했다. 1, 2년 후엔 작은동생네가 미국산 소형차를 타고 나타났다. 작은 차라 큰동생네 차만큼 눈 설지는 않았다. 그러더니 어라, 최근엔 부모님마저 차 바꿀 궁리를 하면서 외제차를 후보에 올리신다.

‘국산품 애용’이라면 부모님이 나보다 여러 층 위다. 외제라면 사치품이요 나아가 죄악이라고 생각하는 연배다. 한데 처음엔 펄쩍 뛰시더니 동생의 설득에 점점 솔깃해하시는 낌새다. 외제차나 국산차나 가격은 비슷한데다 할인율은 되레 외제차가 낫단다. 동생은 나아가 국산품에 충성해봤자 돌아오는 건 봉 취급뿐이다, 수출용과 내수용 차 다른 걸 보면 알조 아니냐며 소리를 높인다.

외제차가 부쩍 늘어나긴 했다. 벌써 150만대란다. 전체 차량 중에선 6% 남짓이지만 신차 판매 비율로선 20%가 훌쩍 넘는다니 외제차는 더 흔해지려나 보다. 하긴 지인들 중에도 외제차 가진 사람이 많다. 벤츠와 베엠베(BMW)에서부터 폴크스바겐이나 혼다에 이르기까지. 하긴 미국인들이 국산품 운운했다면 현대나 기아가 그렇게 진출하지도 못했겠지. 아아니지, 사람을 봉 취급하긴 수입차 쪽이 더하지 않은가?

보호무역주의와 자유무역주의의 전투장이 돼버린 양 마음이 어수선해진다. 외제에 대한 감출 수 없는 선망과 국산에 대한 안타까운 애정은 거의 자동화된 반응이다. 현대차가 미국에서 잘 팔리고 있다는 둥, 삼성이 애플과 나란히 경쟁하고 있다는 둥, 한국 드라마가 히트 치고 아무개 작가의 소설이 베스트셀러가 됐다는 둥, 그런 소식을 들으면 그 반응 기제가 먼저 작동하곤 한다. 런던 해러즈백화점의 ‘우리’ 가전제품 매장에서 거구의 백인 남성들이 땀 흘리며 판촉 중인 걸 봤을 때 속내가 어찌나 간질간질하던지.

참 엉뚱한 대표성이다. 민족국가라는 경계가 가로지르자 나머지가 온통 교란된다. 대기업이 빵집에 이어 미용업계까지 진출하리란 소문이 파다하던데. 투덜대면서도 발길은 밥 먹을 때마저 체인점을 향하니 원. 이러다간 대기업과 1인 기업만 남겠어. 대기업에 집중하는 대신 중소기업을 육성했던 대만은 또 그대로 위기라던데. 어쨌거나 삼성이 망하면 대한민국이 휘청하리란 건 사실이잖아? 이건 마치 귀족들의 상원이 전 국민을 대표합네 했던 역사처럼 부조리하다.

대표 없는 세계는 어디 없나. 외제차 국산차 문제보다 소비 자체의 문제가 있을 텐데 그건 또 어쩌나. 냉장고·티브이·세탁기의 소유 여부를 계층 분류 기준으로 삼던 한 시절이 생각난다. 개발독재 시절에 한국을 이끌었던 중산층에의 꿈은 기실 소비에의 욕망에 다름 아니었다. 아파트에 살며 자동차 몰고 최신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인생이라면 행복하지 않을 리 없다고 믿었던 터다. 한데 2016년, 전 국민의 50%가 아파트에 살고 2.5명당 한 대의 자동차를 갖고 있는 오늘날의 초상이라니.

권보드래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외제차에 둘러싸일 지경이니 나라도 차를 없애야 할까 보다. 아이들과 함께 벼룩시장에 들고 나갈 물건을 챙기다 충동적으로 뱉어보지만, 글쎄, 내 속마저 가늠하기 어렵다. 그래도 낡은 장난감을 닦고 철 지난 책을 정돈하다 보니 마음이 좀 가라앉긴 한다. 얘들아, 이번엔 딱 두 시간만 파는 거다. 기부함에 넣고 남은 돈으론 뭘 할까? 뭐, 새로 나온 게임? 미안하지만 그건 절대 안 돼 안 돼 안 돼.

권보드래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삶의 창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