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2.12 18:55 수정 : 2007.12.12 19:07

복희씨는 남몰래 숨겨온 아편 덕에 결혼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다.

[매거진 Esc] 김연수의 여자 여자 여자

평생에 걸쳐 좋아했던 작가의 신간을 읽기 위해 동네서점을 찾는 일은 두고두고 누리고 싶은 호사다. 오래간만에 박완서 선생의 창작집이 출간돼 얼른 사서는 종일 틈틈이 읽었다. 제목은 <친절한 복희씨>. 예전에 문예지에서 읽었지만, 한 번 더 읽었다. 그리고 그날 저녁에 잠을 자려고 누웠다가 머리를 툭툭 쳤다. 아하, 그게 그런 뜻이었구나. 역시 나는 두 번 이상 읽어야만 무슨 뜻인지 아는 모양이다.

표제작 속 복희씨는 버스 차장이 될 생각으로 서울로 도망쳤다가 서른을 넘긴 띠동갑 홀아비가 운영하는 가게에 점원 겸 식모로 들어갔다가 그만 꽃다운 열아홉 살에 그 남자와 결혼한다. 지금은 오랜 세월이 흘러서 장대한 남자였던 남편은 반신불수가 된 상태다. 그런 복희씨에게는 비밀이 하나 있는데, 그건 바로 서울로 도망칠 때 훔쳐온 어머니의 아편이다. 조금씩 먹으면 비상약으로 쓸 수도 있지만, 많이 먹으면 아주 편히 죽을 수도 있다는 그 아편을 복희씨는 은장도 삼아 들고 온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복희씨는 납작한 생철갑 속에 든 까만 고약 같은 그 아편 덕택에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 예컨대 가게 주인이었던 남편에게 모멸스럽게 당하고 났을 때도 복희씨는 “그 지경을 당하고도 고개를 빳빳이 들고 그 방을 물러날 수 있었던 것은 나에게 생철갑이 있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누구에게나 그런 생철갑은 하나씩 있다고 생각한다.

그 비밀 덕분에 복희씨는 안방도 차지하고, 전처의 처가붙이들도 모두 내보낼 수 있었다. 복희씨는 그들의 속을 빤히 알면서도 이름도 외지 못하는 것처럼, 아는 것도 묻고, 또 거친 상소리는 못 알아들은 척했다. 이렇게 비밀이 있을 때, 다 알면서도 복희씨가 얼뜬 표정을 지을 때, 사람들은 그녀에게 호의적이었다. 복희씨의 말대로라면 그런 비밀을 혼자서 간직했을 때, 행운이 뒤따른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은 꽤 인상적이다. 처음 이 소설을 읽었을 때, 나는 복희씨가 그 아편을 남편에게 먹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소설의 내용에 빠져버린 순수한 독자의 마음이었다. 하지만 아아, 우리의 복희씨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마지막 장면은 다음과 같다. “그래도 나는 허공에서 치마 두른 한 여자가 한 남자의 깍짓동만 한 허리를 껴안고 일단 하늘 높이 비상해 찰나의 자유를 맛보고 나서 곧장 강물로 추락하는 환(幻)을, 인생 절정의 순간이 이러리라 싶게 터질 듯한 환희로 지켜본다.”


김연수의 여자 여자 여자
두 번째 읽으면서 나는 그 아편 때문에 복희씨가 살아갈 수 있었던 게 아니라, 그 아편 때문에 제대로 살지 못한 것이라는 걸 발견하고 꽤 놀랐다. 애당초 아편이 없었다면, 복희씨의 인생은 어땠을까? 사람들은 그녀가 누구인지 잘 알았을 것이고, 무엇보다 스스로도 자신을 마음껏 드러냈을 것이다. 아, 그렇다면 우리는 자기가 누구인지 몰라서 이렇게 살고 있는 게 아니구나.

여전히 마음은 복잡하고 잠은 오지 않는데, 문득 이 책에 수록된 다른 단편, ‘그 남자네 집’의 구절들이 떠오른다. “그래, 실컷 젊음을 낭비하려무나. 넘칠 때 낭비하는 건 죄가 아니라 미덕이다. 낭비하지 못하고 아껴 둔다고 그게 영원히 네 소유가 되는 건 아니란다.” 결국 아편이 아니라 젊음이라는 것. 이런 문장이 머릿속을 맴돈다면, 그날 잠은 다 잔 셈이다.

김연수 소설가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esc : 김연수의 여자여자여자 / 정이현의 남자남자남자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