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20.01.07 08:08 수정 : 2020.01.07 08:26

중국 기술전쟁 현장을 가다
② AI 기업 산실 베이징

플랫폼노동시장 먼저 만든 중국
직접·간접고용에 파트타임까지
노동자 노무관리 촘촘히 나뉘어
간편결제는 계산원 일자리 없애고
AI판사는 법원 반복업무도 대체

실생활을 공략한 신기술은 일자리 풍경도 바꿨다. 물건 계산, 상품 관리 등 단순반복업무가 줄었다. <한겨레>가 지난달 18일 찾은 베이징 징둥 매장 1층 계산대는 징둥이 자체 개발한 무인판매대 40대만 놓여 있었다. 제품 바코드와 간편결제(위챗·징둥페이)를 연결해 1분 안에 모든 물건을 계산했다. 판매원 40명의 일자리가 사라진 셈이다. 징둥이 최근 개발한 ‘무인편의점’도 계산원이나 경비원 없이도 인공지능이 소비자가 들고 나간 물건을 분석해 모바일페이로 자동결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징둥 매장은 물론 징둥 무인편의점 프로그램을 임대하는 기업들의 계산원 일자리도 함께 줄어들 가능성이 높았다.

음성합성 기술은 고임금 사무직의 반복업무도 대체했다. 올해 베이징인터넷법원 사이트에 도입된 ‘에이아이(AI) 판사’는 재판조정절차에서부터 저작권 침해행위까지 자주 묻는 법률질문 120가지에 답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서비스를 써 보니 실존인물 류모 판사의 얼굴과 음성을 그대로 구현한 에이아이 판사가 준비된 답을 읽어 내려갔다. 에이아이 판사는 베이징인터넷법원 화상재판이 진행될 때 재판 안내 문구를 대신 읽어주거나 사이트를 방문한 재판 당사자에게 간단한 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반면 공유경제의 발달로 시간제 일자리는 빠르게 늘었다. 중국은 지난해 기준 공유경제 종사자가 590만명으로, 54만명 규모인 한국보다 10배가량 많다. 그만큼 노무 체계도 촘촘하게 발달했다. 산쑹(심부름)·메이퇀뎬핑(배달)·어러머(배달)·메이르유셴(신선식품 배달)·디디추싱(택시) 등 플랫폼 기업 종사자 8명을 직접 만나 들어보니, 사업장별로 일률적인 노무체계를 가진 한국과 달리 이들은 한 사업장 안에서도 노동자 선택에 따라 직접·간접고용과 자영업으로 나뉘어 있었다. 이들은 “직접고용자는 5대 보험을, 간접고용자는 1~2개 보험을 보장받고 자영업자는 따로 없다. 대신 위험수당과 잔여수당을 더 많이 받는다”고 설명했다. 또 “1건당 7~10위안(1100~1600원)을 벌고 하루 30건을 뛴다. 시급이 너무 적어서 하루에 12시간 이상 뛰어야 한다”고 했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중국 기술전쟁 현장을 가다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