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5.02 19:35 수정 : 2018.05.02 20:33

[ESC] 커버스토리| 모녀

65살에 사진 입문한 한설희
첫 피사체로 어머니 선택
90대 어머니 사진에서 자신 발견
<엄마, 사라지지 마> <엄마> 등 출간

마당에 나온 어머니. 2013년 9월6일. 사진 한설희 제공
금세라도 후드득 힘없이 빠질 듯한 희고 가는 머리카락. 그것을 애써 부여잡은 손마디는 쭈글쭈글 긴 시간의 흔적이 박혀 있다. 한설희(70)씨의 카메라에 잡힌 어머니는 앙상하고 메마른 겨울나무 같았다. 1920년에 태어나 아흔다섯 해를 산 어머니 박성보씨.

어머니가 가는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있다. 사진 한설희 제공
“어머니는 식물처럼 조용하고 독립적인 분이었다. 우리들(3남 1녀)에게 늘 ‘착하게 살아라’ 하셨다.” 지난달 25일 전화 인터뷰에서 어머니를 추억하는 한씨의 목소리가 가늘게 떨렸다. 지금은 세상에 없는 어머니에 대한 딸의 그리움이 묻어 있었다. “바람이 나 가정을 떠난 아버지를 평생 기다렸으나 끝내 소원을 이루지 못한 어머니”는 이제 한씨가 2010년부터 5년간 그를 찍어 만든 까만 사진집에 있다.

더 연약해진 어머니. 2015년 2월6일. 사진 한설희 제공
“갑자기 아버지가 타계하시고 황망해하던 중 문득 정신을 차려보니 어느새 늙고 병들어, 앙상하니 바싹 말라버리고 쇠잔해지신 어머니가 곁에 계셨다.” 아버지를 추억할 사진 한 장 변변한 게 없는 걸 깨달은 그는 카메라를 들었다. “늙고 병들어 외로운 섬에 갇혀버린 어머니의 여정을 카메라에 담고 싶었다.”

거울 속의 어머니는 여전히 고운 여자. 사진 한설희 제공
물론 어머니 때문에 그가 사진기를 든 건 아니다. “젊은 시절 잠깐 사진을 찍은 적이 있었으나 가세가 기우는 등 여러 사정으로 내려놨다. 어머니처럼 나도 늙고 아이들이 품을 떠난 후 지난날의 감성이 살아났다.” 그의 나이 65살 때다. 전문 사진가도 쉼터를 찾아 몸을 뉠 나이다. 하지만 그는 중앙대 사진아카데미 문을 두들겨 아들, 손자뻘 친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배움에 정진했다. 첫 피사체로 어머니를 선택했다.

생신을 맞은 어머니가 촛불을 끄고 있다. 사진 한설희 제공
흔히 카메라는 자신을 정직하게 들여다보게 하는 창이라고 했다. 한씨는 어머니의 사진에서 자신을 발견하곤 했다. “점점 쇠퇴해 가는 어머니를 찍기 위해 자주 찾아갔다. 외면할 수 없는 어머니의 어떤 면을 발견했고 거기에 내가 있었다.” 지금 돌아보니 사진 작업이 그저 고맙기만 하다. “조금이라도 어머니를 돌봐드리게 된 계기가 돼 감사하다”고 한다.

앙상한 어머니의 등에서 지난 시절 긴 여정이 느껴진다. 사진 한설희 제공

2011년 한국의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이 모여 제정한 ‘은빛사진상’을 수상한 그는 2012년엔 갤러리 류가헌에서 개인전 ‘노모’를 열었고 그해 11월엔 <엄마, 사라지지 마>(북노마드), 2017년엔 <엄마>(눈빛)를 출간했다.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사진 한설희 제공

모녀 사이

어머니와 딸의 관계를 이르는 말. 엄마의 모습을 닮아가면서 뿌듯해하거나 원망하는 딸, 자신의 삶과 같거나 다르게 살기를 바라는 엄마. 연관 검색어로 ‘모녀 여행’ ‘모녀 커플룩’ ‘모녀 영화’가 뜰 정도로 모녀 사이는 독특한 점이 있는 가족 관계.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ESC : 커버스토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