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1.11 10:05
수정 : 2019.01.11 10:09
|
강제철거에 대비해 설치한 매듭이 이전한 상가 앞에 걸려 있다.
|
청계천 공구상가 강제철거
|
강제철거에 대비해 설치한 매듭이 이전한 상가 앞에 걸려 있다.
|
“청계천 공구상가는 미래유산으로 따지면 엄청난 곳이다. 기존 상가를 보존하고 도시 재생사업을 하면 세계적 명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외국과 같이 100~200년 넘게 가는 가게들이 나와야 한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에서 40여년간 공구상가를 운영해온 심의진(60) 부림산업 사장은 상가 물건을 정리하면서 아쉬움을 토로하며 이렇게 말했다.
|
심의진 부림사장 사장.
|
청계천·을지로 일대에는 1960년대 시작해 1970~80년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공구상가가 자리 잡고 있다. 5만여명이 이 공구상가에서 일하고 있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3-1, 3-4·5 구역의 철거작업이 진행되면서 길게는 60년, 짧게는 10년 이상 장사해온 400여개 업체가 문을 닫고 있다. 상인들이 나간 자리에는 주거 비율이 90%가 넘는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선다. 대체할 만한 장소를 찾기도 힘들어 많은 수의 업체들이 사실상 폐업을 선택하고 있다.
아들과 함께 상가 안 물건을 정리하고 있던 평안상사 홍성철 사장(60)은 “아버지가 1958년도에 여기서 창업을 했다. 지금은 아들과 같이 일을 하고 있다. 3대가 가업을 이어받았다는 자긍심으로 일했지만 이제 장사를 접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
평안상사 홍성철 사장이 직원들과 점포를 정리하고 있다.
|
광일볼트 이배웅 대표(66)는 “주변 상인들과 매일 점심을 같이 먹었다. 다른 업체 사장들이 다 빠져나간 뒤 혼자서 밥을 먹는데 모래알을 씹는 것 같다”며 손님과 주변 상인들과의 관계 단절을 슬퍼했다.
|
광일볼트 이배웅 대표는 아들 이종훈씨와 같이 일하고 있다.
|
청계천에서 멀리 이전한 상인들도 오랜 터전을 잃은 상실감을 느끼고 있었다. 대흥기기 김태호 사장은 “이사를 하는데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집사람을 안고 온종일 울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40여년 된 점포를 상왕십리로 옮겼다. 동성전업사 강주원 전 사장은 “퇴거 통보를 받고 추석 이후로 잠을 제대로 자지 못했다. 25년 동안 지켜온 가게를 지난해 12월 17일 나갔다”고 말했다.
|
대흥기기 김태호 사장.
|
|
강주원 동성전업사 전 사장
|
철거되는 구역 바로 옆 건물로 이전한 강성철 동성전업사 사장(48)은 “가까운 이곳에 임시로 가게를 열었다. 계속해서 재개발이 진행되면 이곳도 2~3년 안에 비워줘야 할 것 같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
청계천 대로변에서 골목 안으로 이전한 동성전업사.
|
|
4일 오후 서울 중구 ‘세운재정비촉진지구’에서 절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곳에서 영업하던 400여개의 업체는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쫓겨나게 됐다.
|
|
한 청계천 공구상가 직원이 철거작업을 지켜보고 있다.
|
|
50년 넘은 제조업체 영진정밀과 삼원정밀은 문을 닫았다.
|
[%%IMAGE11%%] [%%IMAGE12%%]
[%%IMAGE13%%] 사진·글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IMAGE14%%]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