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3.03.18 10:51
수정 : 2018.09.04 17:58
|
14일 서울 성북구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한겨레-성북구청 부모특강’에서 정윤경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다. 성북구청 제공
|
‘한겨레-성북구청 부모특강’ 3번째 정윤경 교수
아이들이 부모와 이야기하기 싫어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잔소리 때문이다. 부모들은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를 위해 잔소리를 하지만, 그 잔소리 때문에 아이가 부모에게 마음의 문을 닫고 스트레스를 받는다. 교육방송(EBS) 다큐멘터리 <마더 쇼크> 등에 출연해 많은 부모들에게 올바른 양육법을 설파했던 정윤경(사진)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엄마, 아빠가 아이에게 하는 말은 아이의 성격을 만들어가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자 아이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끄는 통로이다. 그런데 많은 부모들이 그 도구를 잘못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같은 잔소리라도 아이를 키우는 잔소리가 있고, 아이를 죽이는 잔소리가 있다며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며 설명했다.
14일 오전 10시 서울시 성북구청 다목적홀에서 ‘한겨레-성북구청 부모특강’ 세번째 강연이 열렸다. 강연 주제는 ‘아이를 크게 키우는 잔소리’였으며, 강연장은 800여명의 청중들로 발 디딜 틈 없이 가득 찼다.
구체적으로 아이를 죽이는 잔소리는 어떤 경우일까? 정 교수는 “부모가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고, 아이의 말을 일방적으로 끊고, 문제만 해결하려고 하고, 일방적으로 명령을 하면 이런 잔소리는 아이를 죽이는 잔소리”라고 말했다. 특히 영국이나 미국 엄마들과 비교해보면, 한국 엄마는 아이들을 통제하려고 하고 내가 우리 아이를 가장 잘 안다고 착각해 잘못된 잔소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성적이 오르지 않아 속상해한다고 해보자. 그럴 때 엄마가 자기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고 아이에게 “도대체 네가 잘하는 것은 뭐가 있니?” “이것밖에 못해? 봐~ 엄마가 시험 전에 더 열심히 해야 한다고 몇번이나 말했니!”라고 말한다면 아이는 어떻게 생각할까? 이런 부모의 말은 아이들에게 듣기 싫은 잔소리가 된다. 결국 아이들은 힘든 일이 생기고 외로울 때에도 부모에게 마음의 문을 닫게 되고, 부모와 대화를 하려 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이런 경우 부모가 아이에게 “노력한 만큼 결과가 좋지 않아 답답하고 속상하지?”“성적이 당장 오르지 않는다고 해서 네가 나아지지 않는 것은 아니야. 지금 당장은 네가 노력한 게 눈에 보이지 않지만, 네가 노력한 것은 절대로 없어지지 않아”라고 말해준다면, 이런 부모의 말은 아이에게 잔소리로 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부모의 그런 말들이 아이의 마음을 위로하고 아이에게 용기를 주게 된다. 이렇게 부모로부터 위로와 공감을 받은 아이들은 다시 어렵고 힘든 일이 생기더라도 자기감정을 조절할 능력이 생기게 되고,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풀어나가게 된다.
정 교수는 “부모가 아이와 대화를 하는 이유는 아이의 마음을 위로하고, 감정을 조절해주고, 기다려주는 과정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정 교수는 성별에 따라, 아이들의 기질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아이들에게 말을 하면 좋을지에 대해 설명했다. 좀더 자세한 강연 내용은 <한겨레> 육아사이트 ‘베이비트리’(
babytree.hani.co.kr)에서 볼 수 있으며, ‘
한겨레-성북구 부모특강’ 네번째 강연은 다음달 18일 같은 장소에서 ‘불안을 넘어 함께하는 교육으로’라는 주제로 열린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