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30 16:41 수정 : 2006.01.17 00:19

상인ㆍ운송업자들 “생업주차 허용해야”

"도시 미관과 서울시민의 휴식공간도 중요하지만 청계천이 생활 터전인 상인들의 생계도 보장해줘야 하는 것 아닙니까"

서울시가 복원된 청계천을 따라 나란히 뻗어 있는 청계천 남북로에 무인 주차단속 카메라 34대와 공익요원, 공무원을 동원해 불법 주ㆍ정차 단속을 강화하자 주변 상인과 운송업자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청계천 복원으로 주변 경치는 좋아졌지만 가뜩이나 편도 2차로로 줄어든 도로탓에 길도 막히는데다 불법 주ㆍ정차 단속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

특히 청계천 주변 상권이 소매상보다는 덩치가 큰 물류의 이동이 잦은 도매상이 중심인 탓에 주변 상인들은 엄격한 주차단속보다는 이른바 `생업 주차'를 감안한 탄력적인 단속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청계천 주변에서 조명기구 업체를 운영하는 이모(43)씨는 30일 "서울시에서 차를 정차해 두고 짐을 풀고 싣는 시간으로 5분을 허용하겠다고 하는데 이 시간에 작업을 마치기는 사실상 힘들다"고 털어놨다.

이씨는 "첫 한달만 `반짝' 단속을 할지는 지켜 봐야겠지만 손님들이 차를 못 가져온다고 생각하고 발길을 끊으면 매출에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중소전자업체에서 청계천 전파상가로 물품을 공급하는 이택희(32)씨는 "안 그래도 청계천 복개로 좁아진 길 가장자리에 주차선 한 줄만 그어놓아서 차 댈 곳이 절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트럭운전사 박모(55)씨는 "청계천 복원으로 주차위반 감시용 폐쇄회로TV(CCTV)가 설치되고 공무원의 단속이 심해지면서 인근 유료 주차장에 차를 대 놓고 상점에서 부르면 달려가는 방법을 쓰게 돼 주차비 등 부담이 늘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박씨는 "어떤 때는 주차비가 부담스러워서 주변 도로를 배회하는 경우도 있는데 에너지 낭비일 뿐 아니라 단속을 본격화하면 이러한 차들로 도심 일대가 혼잡을 빚을 것"이라며 우려했다.

다른 운전기사는 "단속이 심해진 뒤 한 달에 서너번은 주차 딱지를 뗀다. 서울시가 짐을 대신 날라다 줄 건가"라고 불만을 표했다.

30년 간 청계천에서 운송 차량에서 내린 짐을 차가 진입하기 힘든 골목에 손수레로 배달하는 일을 해왔다는 정영묵(64)씨는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형편이라 휴일에도 일을 해야하는데 휴일에 `차없는 거리'를 조성한다니 그렇게 되면 일감이 끊겨 생계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정씨는 "서울시가 대책도 세워주지 않고 무작정 불법주차를 하지 말라고만 하면 운전기사나 나처럼 이 곳에 `밥줄'을 걸고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하느냐"며 한숨을 지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편도 2차로 도로다 보니 반드시 불법 주ㆍ정차 단속을 해야 원활히 소통된다"며 "도로 가장자리의 주차선과 1만여대를 수용할 수 있는 인근 주차장으로 주차 수요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조성미 기자 helloplum@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