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20.01.04 15:07 수정 : 2020.01.04 15:07

그린피스 보고서
비닐봉지는 한반도 70% 덮고 페트병 세우면 지구 10바퀴
"생활용품 전반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강력한 정책 필요"

게티이미지뱅크

서울 강동구에 사는 박지원(39) 씨는 마트에 갈 때면 꼭 천으로 만든 장바구니를 여러 개 챙겨간다. 비닐봉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생수나 각종 신선식품을 사게 되면 딸려오는 페트병과 일회용 비닐을 피하긴 어렵다.

박씨는 "일회용품을 줄이려 해도 마트에서 포장 상태부터 일회용품으로 돼 있어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4일 그린피스의 '일회용의 유혹, 플라스틱 대한민국'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한국에서 사용된 비닐봉지는 235억개(46만9천200t), 페트병 49억개(7만1천400t), 플라스틱 컵 33억개(4만5천900t)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이 1년에 사용하는 비닐봉지는 한반도를 70%가량 덮을 수 있는 양이다. 플라스틱 컵을 쌓으면 지구에서 달까지 닿는다. 페트병을 세우면 지구 10.6바퀴를 두를 수 있다. 인구수로 나누면 1인당 연평균 비닐봉지 460개(9.2㎏), 페트병 96개(1.4㎏), 플라스틱 컵 65개(0.9㎏)를 사용한다.

이 같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일회용 플라스틱 비율이 높은 생활계 폐기물 발생량은 2013년 208만t에서 2017년 298만t으로 43% 늘었다.

[그래픽] 한국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문제는 이렇게 사용한 플라스틱이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고 오염을 발생시킨다는 점이다. 분리수거를 통해 많은 자원이 재활용될 것으로 믿지만 현실은 다르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비율은 약 62%다. 40%대인 유럽연합(EU)보다 높다.

그러나 여기에는 플라스틱을 태워 화력발전 등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에너지 회수'가 절반 이상 포함돼 있어 액면 수치상으로만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그린피스는 지적한다.

EU는 재활용률을 계산할 때 에너지 회수는 포함하지 않는다. 연소성이 낮아 오염물질을 만들어 내며 사실상 소각과 같기 때문이다. 한국도 EU 기준을 적용하면 재활용률은 22.7%로 크게 떨어진다.

플라스틱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물질이어서 재활용을 하더라도 유리나 캔, 종이 등과 달리 본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재활용 과정에서 더 낮은 품질의 제품이 되고 궁극적으로는 불가피한 오염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재활용만으로는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처음부터 플라스틱 발생량을 줄이고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그린피스는 주장한다.

그린피스는 "생활용품 전반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이고 강제성을 띤 강력한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며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와 함께 생산 감축을 의무화해 음식 용기나 음료수병뿐 아니라 모든 일회용 플라스틱에 생산 감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