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

- 고 김용균 1주기 추모위 “특조위 ‘직접 고용 정규직화’ 등 권고안 휴짓조각”
- 2016년 ‘구의역 김군‘의 죽음 이후에도 김용균씨의 노동이 달라지지 않았듯, 김씨의 죽음 이후 1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김용균들’의 노동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김용...
- 2019-12-03 16:35
-

- 한국지엠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건 ‘진상 조사’ 촉구
- 한국지엠(GM) 부평공장에서 근무하던 비정규직 노동자가 숨진 사건과 관련해 비정규직 노조가 한국지엠 주도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 촉구했다.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 부평비정규...
- 2019-12-03 16:01
-

- 참극·상처로 그을린 노동의 달력…‘김용균들’ 살리는 촛불 다시 들자
- 몇달째 달력 하나에 매달려 끙끙대고 있다. 오래전부터 만들고픈 달력이었다. 날짜만 적힌 달력이 아니다. 무엇인가 적어 넣을 ‘빈자리’가 있는 달력도 아니다. 우리 사회에 근대적 의미의 ...
- 2019-12-02 20:16
-

- [시론] 온전한 비정규직 실태 파악을 위하여 / 김유선
- 김유선 ㅣ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661만명이던 비정규직 노동자가 올해 8월에는 748만명으로 87만명 증가했다. 전체 노동자를 100이라 할 때 비정규직 비율은...
- 2019-12-02 18:09
-

- [공감세상] 서울시의 일반직 전환 / 김진
- 김진 ㅣ 법무법인 지향 변호사지난 9월 언론 보도를 접했을 때만 해도 그저 “또 공무원들이 일하면서 실수한 게 있었나 보다. 좋은 일인데 꼼꼼하고 무리 없이 했으면 좀 좋아” 하며 안일하...
- 2019-12-02 18:09
-

- 고 김용균씨 사고 1년…공공·대형사업장 88% ‘노동자 안전’ 없다
- 한국서부발전의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으로 일하다 생을 마감한 고 김용균씨 사고가 일어난 지 1년이 다 되어가지만, 공공·대형 사업장 10곳 가운데 9곳은 여전히 하청 노동자들의 안전을 ...
- 2019-12-01 15:05
-

- [사부작사부작] 노동자의 죽음과 원청의 ‘혐의없음’
- “한 산, 한 산, 힘들게 넘어왔다. 모든 산이 중요하다. 용균이한테 이번 산을 넘을 때도 힘을 달라고 말했다.”고 김용군 씨의 어머니 김미숙 씨는 2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아들의 1주...
- 2019-11-27 14:43
-

- 청년 산재 1위 ‘배달업’…“산재보험 적용 현실화 필요”
- 최근 쿠팡이츠·배민커넥트·부릉프렌즈 등 크라우드소싱 형태로 일하는 플랫폼 노동자들이 느는 가운데, 이들이 산업재해보상보험료를 내고도 ‘전속성’이라는 기준 때문에 산재보험 적용을 제...
- 2019-11-26 18:42
-

- [세상읽기] 이모 집의 냄새 / 이상헌
- 이상헌 ㅣ 국제노동기구(ILO) 고용정책국장큰이모 집에서는 늘 냄새가 났다. 다들 고만고만한 살림이었고 너도나도 산복도로 언저리에 숨어들어 살았을 때지만, 이모 집을 찾기는 유독 어려...
- 2019-11-26 18:17
-

- [왜냐면] 이재명 경기도지사님께 드리는 편지 / 박현미
- 박현미 ㅣ 평택시 일자리센터 직업상담사저는 평택시 일자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업상담사 박현미라고 합니다.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일하는 직업상담사 중에서 아직도 무기계약직인 ...
- 2019-11-25 18:19
-

- [사부작사부작] 네가 없는 세상의 안녕을 위해
- “오른손을 내미는 것은 다시는 본인과 같은 아픔이 없도록 함께 해달라는 요청이며, 무표정한 얼굴은 학생으로서 장시간에 걸친 고강도의 현장실습을 겪어내야 했던 고됨을 의미합니다.”19일...
- 2019-11-20 16:57
-

- [사설] 잇단 ‘플랫폼 노동자’ 노동자성 인정, 입법 논의 필요하다
- 모바일 앱 등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한 ‘플랫폼 노동자’들이 법원에서 개별적으로 노동자성을 인정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 15일 택배기사들의 노동조합 합법성을 인정한 서울행정법원...
- 2019-11-19 18:32
-

- [왜냐면] 콜센터 노동자들의 서사 / 최재혁
- 최재혁 ㅣ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정책부장올해 9월 이후 두 차례 만난 서울의 한 콜센터 하청업체 노동자 김진영씨(가명)는 근속기간 만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회사를 그만두기로 했다....
- 2019-11-18 18:11
-

- 플랫폼 노동자 가운데 첫 근로자 인정
- 배달대행업체와 위탁계약을 맺고 일하는 배달대행 노동자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는 판단이 처음으로 나왔다. 고용노동부가 차량호출 서비스 ‘타다’의 불법파견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등 ...
- 2019-11-05 22:18
-

- 인권위 “개정 산안법도 ‘제2의 김용균’ 못막아”…‘위험의 외주화’ 개선 권고
- 하청노동자 등 간접고용 노동자들의 생명과 안전, 노동권 등 노동인권을 높여야 한다는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판단이 나왔다. 인권위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이 확대되고 건설업...
- 2019-11-05 12:06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