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4.06 15:20 수정 : 2018.04.06 16:11

6일 오후 경북 구미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주차장에 박근혜 전 대통령 무죄 석방을 촉구하는 천막이 쳐져있다.

6일 오후 2시10분 박근혜 1심 선고 시작
구미 박정희 생가는 적막감·사람들 발길 끊겨
생가 주차장에 ’박근혜 무죄 석방 촉구‘ 천막만

6일 오후 경북 구미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주차장에 박근혜 전 대통령 무죄 석방을 촉구하는 천막이 쳐져있다.
‘박근혜 대통령 인권 유린 중단 및 무죄 석방 촉구.’

박근혜 전 대통령 1심 선고가 시작된 6일 오후 2시10분께, 경북 구미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주차장 천막에는 이렇게 적힌 펼침막이 걸려있었다. ‘구미시(사)조국사보존연합회’라는 단체가 쳐놓은 천막이었다. 천막 주변은 태극기와 성조기로 가득했다. 천막 안에는 나이 든 남자 3명이 있었다. 천막 입구 테이블에는 박 전 대통령 무죄 석방을 촉구하는 서명지가 놓여 있었는데 서명하는 사람은 보이지 않았다.

박 전 대통령 생가로 올라가는 길에는 아무도 없었다. 생가 마당에 들어가자 실물 크기로 만들어 놓은 박 전 대통령과 아내 육영수씨의 모형이 세워져 있었다. 모형 옆에는 ‘사진촬영시 주의사항, 내외분 어깨에 손을 올리지 마세요’라는 안내문이 있었다. 생가 마당은 텅 비어있었다. 생가는 조용했고 멀리서 새소리만 들려왔다.

6일 오후 경북 구미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마당이 텅 비어있다.
생가 마당 한 쪽에 마련된 추모관 옆에는 방명록 두개가 놓여 있었다. 방명록에는 박 전 대통령 1심 선고를 앞두고 박 전 대통령 석방을 기원하는 글 몇개가 적혀 있었다. ‘박근혜 대통령 보살펴 주세요. 항상 존경합니다.’ 이날 대구에서 온 사람은 이런 글을 남겼다. ‘토요일마다 태극기 집회 나갑니다. 박근혜 대통령님 응원해주세요. 각하는 이 나라에 선지자이십니다.’ 지난 5일 강원 강릉에서 온 사람도 이런 글을 남겼다. ‘나라가 어렵습니다. 환생하시어 이 나라를 밝은 미래로 가도록.’ 지난 3일 충북 충주에서 온 사람은 이런 글도 적어놨다.

생가 주차장으로 내려와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가자 박 전 대통령 동상이 나왔다. 동상 주변에도 사람이 보이지 않았다. 동상 주변 의자에 남성 한명이 누워 잠을 청하고 있었다. 이 남성에게 박 전 대통령 1심 선고 이야기를 꺼내자 이런 퉁명스런 대답이 돌아왔다. “아부지가 훌륭하다고 딸까지 훌륭한가? 내 보니 그 여자(박근혜 전 대통령)는 깡통이여, 깡통. 그렇다고 문재인이 이래 보복하고 그라믄 안되지.”

6일 오후 경북 구미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주변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이 텅 비어있다.
동상 뒤쪽에는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이 펼쳐져 있었다. 지난해 12월31일 완공된 테마공원에는 1970년대를 재현해 놓은 마을과 전시관 등이 들어서 있었다. 하지만 테마공원을 둘러보는 사람은 서너명에 불과했다. 구미시는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박 전 대통령 생가 주변을 꾸미기 시작해 지금까지 1424억원이 넘는 돈을 들여 33만㎡(10만평)의 ‘박정희 타운’을 완성했다. 이 사업을 했던 남유진 구미시장은 박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다니다가 구미시장직을 중도 사퇴하고 경북도지사 선거 자유한국당 경선에 뛰어들었다.

박 전 대통령 생가는 박 전 대통령이 대통령에 취임한 직후까지만 해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었다. 5년 전인 2012년 12월19일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박 전 대통령이 당선됐을 때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에는 추운 날씨에도 주민 등 500여명이 몰려왔다. 이들은 생가보존회에서 설치한 대형 빔프로젝터와 스크린을 통해 밤 늦게까지 개표 방송을 지켜보며 환호했다. 이들은 폭죽을 터뜨리고 풍물놀이를 하며 박 전 대통령의 당선을 기뻐했다. 밤이 깊어져도 천막을 쳐놓고 불을 피워 놓은 채 삼삼오오 막걸리를 마시며 자리를 지켰다.

6일 오후 경북 구미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방명록에 박근혜 전 대통령을 응원하는 글이 적혀 있다.
박 전 대통령이 취임했던 2013년에 생가를 찾은 사람은 구미시 집계로 78만명이나 됐다. 하지만 이후 생가를 찾는 발길은 계속 줄었다. 특히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2016년에는 39만명에 머물렀다. 지난해에는 26만명까지 떨어졌다. 글·사진 구미/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