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09.25 16:33
수정 : 2016.09.25 21:32
국정교과서 논란, 어버이연합 지원 이어
1년 새 미르재단까지 세 번째 ‘문제’
1961년 박정희 쿠데타 직후 설립
심상정 “정경유착 온상…해체해야”
|
서울 여의도 전경련 건물.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
재벌 오너들의 모임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잇따른 정경유착 의혹에 휘말리면서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보수 우익단체인 어버이연합에 대한 지원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르·케이(K)스포츠재단 설립에 관한 의혹의 중심이 섰다. 일각에선 전경련 해체론까지 나온다.
전경련은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쿠데타 이후 재벌들이 만든 경제단체다. 1960~80년대 군사독재와 개발연대 시기에 정치자금을 모아 정치권에 전달하는 창구로 기능하는 등 태생적으로 정경유착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다른 한편으론, 경제정책에 관한 재계의 의견을 전달하는 창구가 돼 ‘재계의 본산’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0년대 외환위기 직후엔 빅딜을 주도하는 등 그 위상도 높았다. 하지만 요즘은 이런 역할은 찾기 힘들고 구설수에만 이름이 오르내리는 신세가 됐다.
전경련이 부적절한 정치권 연루 의혹에 휘말린 것은 최근 1년 사이에 세 차례나 된다. 지난해 박근혜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했을 때 전경련이 산하단체로 만든 자유경제원이 국정화 ‘홍보대사’로 뛰었다. 자유경제원은 스스로 독립적 비영리재단이라고 주장하며 교과서 국정화 문제에 목소리를 높였지만, 지난해 11월 전경련에서 매해 평균 20억원씩 지원받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올해 4월 불거진 어버이연합 지원 문제도 전경련의 정치 개입 논란을 키웠다. 친정부 집회나 세월호 참사 진실 규명 반대 집회 등에 앞장선 어버이연합의 차명계좌에 전경련이 5억원 넘게 입금한 사실이 드러났다.
전경련은 문제가 생길 때마다 부적절한 행태를 인정하고 반성하기는커녕 부인하거나, 청와대 등으로 향하는 의혹을 떠안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은 23일 임원·기자단 세미나에서 미르·케이스포츠재단에 대한 청와대 개입 의혹을 부인하면서도 “재단의 필요성에 대해 기업들은 물론 청와대도 공감하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여러 기업들이 이런 의견을 제시해 두 재단을 전경련이 실무를 주도해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어버이연합에 돈을 대주고, 대통령의 노후자금을 대주는 전경련은 더 이상 경제단체라고 볼 수 없다. 정경유착의 온상이고, 비리·부패 주범인 전경련은 이제 해체할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장진영 국민의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대기업들로부터 무려 774억원을 2주 만에 모금하는 등 정권실세를 호가호위하며 불경기에 허덕이는 기업들의 팔을 비틀어 돈을 뜯어내는 것이 자유시장경제 창달인가”라고 물었다.
대기업들 사이에서도 전경련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 전경련은 정경유착 의혹이 불거질 때마다 문호 개방 등 쇄신을 약속했지만 이후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최근 1년 사이 벌어진 일들도 독자적 쇄신이 어려움을 보여준다. 전경련 회장직은 재벌그룹이 서로 맡기를 꺼리는 분위기 속에 허창수(GS그룹 회장) 회장이 세번 째(33∼35대) 연임을 하고 있다. 4대 그룹의 한 고위임원은 “전경련이 대기업의 이익을 제대로 대변하지도 못하고 오히려 부담이 되고 있다”며 “박정희 군사정부 때 만들어진 전경련은 개발독재의 산물로서 변화된 시대 상황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 전경련 전직 임원도 “대기업 이권단체로서의 전경련은 시대적 소명을 다한 것 같다”며 “국민경제 전체의 이익을 위해 기여할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완 기자, 곽정수 선임기자
wani@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