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북한 |
5차 핵실험 여파, 민간 차원 대북 수해지원 막혀 |
최악의 수해를 입은 북한에 대한 민간 차원의 복구 지원사업이 5차 핵실험으로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는 16일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관계자의 말을 따 “지난 9일 오전 8시 긴급상임위원회를 개최해 대북 수해복구 지원사업을 결의했다. 하지만 회의가 끝나자마자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원사업 추진 일정이 올스톱됐다”고 전했다.
앞서 북민협은 지난 5일 긴급회의를 열어 대북 수해복구 지원사업에 착수하기로 의견을 모은 뒤 나흘 만에 상임위를 열어 복구지원에 나서기로 결의한 바 있다.
북민협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의약품이든, 생필품이든 북한 이재민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면 품목을 가리지 않고 지원하기로 의견을 모은 상태”라며 “언제든지 북한에 지원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준비에 착수했지만 언제 도움의 손길을 뻗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현행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제9조 2(남북한 주민 접촉) 제1항은 “남한의 주민이 북한의 주민과 회합·통신, 그 밖의 방법으로 접촉하려면 통일부장관에게 미리 신고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접촉 자체는 ‘허가’ 사항이 아니라 ‘신고’ 사항이란 얘기다. 그럼에도 현재 북한의 대남 창구인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과 팩스 교신 등 접촉 자체가 허용되지 않고 있다.
지난 8월29일 태풍 라이언록이 강타한 북한 함경북도 북부 산간지역엔 이틀 새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다. 이로 인해 경흥·무산·온성·라선·회룡 등지에서 홍수와 산사태가 잇따랐다. 특히 두만강의 범람으로 피해가 커지면서, <노동신문> 등 북 매체조차 ‘해방 후 최악의 혹심한 대재앙’으로 규정할 정도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낸 자료를 보면, 지금까지 확인된 인명피해는 사망(133명)·실종(395명) 등 500명을 넘어선다. 또 6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긴급 지원이 필요한 인원만 14만명에 이른다. 앞서 세계보건기구(WHO)는 15일 북한 수해지역에서 응급 의료지원을 하는데 필요한 자금 17만5천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인환 기자inhwa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