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조작 사건으로 서울대 징계위에 회부된 황우석 교수가 17일 징계위에 출석하기 위해 보도진에 둘러쌓인 채 서울대 본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
특별수사팀 이인규 검사 일문일답
`줄기세포 조작' 사건 수사 결과를 발표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 이인규 3차장검사는 12일 이번 사건은 일부 과학자들이 연구윤리를 저버린 결과이고 난치병 환자와 일반 국민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는 점에서 `과학계의 성수대교 붕괴사건'이다"며 "향후 비양심적 연구관행이 일소돼 줄기세포 연구가 지속되기를 염원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 차장검사 및 홍만표 부장검사와 일문일답 ◇ 홍만표 부장검사 -- 연구팀이 김선종 연구원의 `섞어넣기'를 찾아내지 못한 이유가 있나. ▲검증 결과에 따르면 1계대 상태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세포가 죽었다는 점을 알 수 있어야 하는데 당시 연구팀이 이를 못 본 것이다. -- 김 연구원이 미즈메디 소속인데, 노성일 이사장이나 윤현수 교수에게 보고했을 가능성인 높다고 보는데. ▲김 연구원은 미즈메디 소속이기는 하나 황 교수가 연구 진행 상황을 노성일 이사장에게 보고하지 말라고 지시했고 실제 그런 지시를 따랐던 것으로 드러났다. -- 황 교수는 줄기세포가 있었다고 믿었던 인물인데 고의적 사기로 볼 수 있나. ▲황 교수가 사이언스 논문 관련 기자회견한 시점이 2005년 5월이다. 줄기세포가 `환자맞춤형'이고 줄기세포 생성에 있어 경제성이 향상됐다는 점을 홍보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2005년 논문에서 줄기세포 실험의 상업성ㆍ경제성이 개선됐다는 내용은 없다. -- 한학수 PD가 NT-2번이란 점을 미즈-4번임을 알 수 있었던 경위는. ▲유영준씨는 NT-2번의 DNA검사를 했고 미즈메디 연구원을 통해 미즈-1부터 미즈-15까지 미즈메디측 수정란 줄기세포와 비교할 수 있었다. 유씨는 한학수씨에게 검증자료를 보냈고 NT-2가 미즈-4라는 점을 알게된 거다. -- 원천기술의 존재 여부는 어떻게 판단했나. ▲NT-1이 원천기술인지 여부 등은 과학계에서 심도있게 논의해서 결정해야 할 문제로 봤다. -- 황 교수가 `섞어심기' 사실을 알았던 시점은. ▲2005년 10월 중하순으로 파악했다. -- `섞어심기' 과정을 수사팀이 직접 재연했다는데. ▲김선종씨의 진술이 없었으면 과연 진실이 규명됐을 수 있었겠느냐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였다. 연구실 2차 압수수색 당시 이미 관련 사실을 자백한 김씨와 함께 섞어심기 과정을 검증했다. --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4년 사이언스 논문과 관련, 황 교수가 지문분석 조작 과정 등 알고 있었다는 말인가. ▲2003년 5월 처음 줄기세포 만들어진 다음, 그걸 검증하는 DNA 작업에서 김선종ㆍ박종혁씨가 실수로 세포를 분실했고 이를 보고받은 황 교수는 "체세포에서 배출된 DNA 2개로 대신 보내지"라고 지시했다. 그 이후로 연구는 계속 왜곡된 것이다. -- 황 교수가 민간 후원금으로 들어온 연구비를 빼돌린 것은 없나.
|
'줄기세포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의 이인규 3차장 검사가 12일 오전 서초동 검찰청사에서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 조작과 연구비 사용 내역 등에 관한 최종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
댓글 많은 기사